ADVERTISEMENT

“창녕함안보 지금대로 두면 위험” “보강공사 마쳐 안전성 문제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4대강 사업을 반대해 온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위원장 박창근 관동대교수)가 낙동강의 창녕군 길곡면 증산리와 함안군 칠북면 봉촌리를 잇는 창녕함안보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특위는 7일 오전 경남도청에서 이 같은 내용의 기자회견을 했다. 특위 박 위원장은 “창녕·함안보는 당장은 무너지지 않지만 훼손 상태가 심해 보수·보강공사를 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면 보가 두 동강 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창녕함안보는 시설물안전진단관련 법률이 규정한 최하위 등급인 E등급이라고 밝혔다. 이 보는 6월 말 완공예정이다.

 특위는 회전하며 움직이는 가동보의 하류 쪽에 설치한 바닥보호공(수심 5m)이 지난 1월 3일 한국수자원공사(수공) 자체 조사 문건을 입수한 결과 바닥 보호시설 85m 가운데 약 20m가량이 유실된 점을 확인했다. 가동보 상류에도 하천 바닥에서 깊이 10m로 파이는 세굴현상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는 수공이 지난 3월 초 바닥 보호시설이 유실되지 않았다고 발표한 내용이 허위임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특위는 덧붙였다.

 특위는 보 상·하류의 세굴 진행을 막기 위해 지난 3월 토목섬유에 시멘트를 집어넣어 세굴지역을 덮는 보강공사(시멘트 충진법)를 했지만 이것이 보의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특위는 보 콘크리트의 수직·수평 이음부 높낮이에 차이가 나거나 틈이 벌어진 부분 등을 보강공사한 점으로 미뤄 부등침하(높낮이가 다르게 침하하는 것)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은 “보 상·하류의 세굴과 부등침하를 장기간 방치하면 기초의 지지력이 약해져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특위는 정부가 관련자료를 공개하고 민·관이 합동으로 정밀조사에 나서 대책을 마련하자고 촉구했다.

 이에 수공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보는 대형 콘크리트 말뚝(지름 1.5m, 3400개)이 암반에 1m 깊이로 박힌 기초 위에 건설돼 있고 이 기초 둘레에 물막이 강판 파일이 박혀 있으며, 세굴현상 등에 대한 보강공사가 마무리돼 안전성에는 문제없다”고 해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