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여론조사] 경제에 대한 평가

중앙일보

입력

현재 우리의 경제상태를 국제통화기금(IMF)사태 이전 상황과 비교토록 했더니 10명 중 6명 이상(66.4%)이 'IMF사태 이전보다 더 나쁘다' 며 불안해 했으며, 3명(30.1%)은 'IMF사태 이전과 비슷한 수준' 이라고 답했다.

극소수(3.5%)만이 'IMF사태 이전보다 더 좋아졌다' 고 평했다.

현재와 비교해 앞으로의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지금 상황과 비슷할 것' (32.3%), '지금보다 더 나빠질 것' (37.3%) 등 69.6%가 암울한 예측을 내놓았다. '지금보다 더 좋아질 것' 이라는 낙관론은 불과 28.4%였다.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국민의 걱정이 더 잘 드러난다.

현재 金대통령은 약속한 '4대 개혁' (금융.기업.공공.노동)을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64.9%)며 강하게 비난했다.

이런 상황에서 당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경제 문제로는 실업문제(40.0%)를 우선적으로 꼽았고 물가안정(25.4%), 기업.금융.공공부문 구조조정(19.1%), 빈부격차 해소(10.3%), 주식시장 안정(3.6%), 농촌살리기(0.4%), 경기부양(0.2%) 등도 거론했다.

구체적으로는 고용.실업문제에 대해 거의 대부분(96.3%)이 '심각한 수준' 이라고 우려했다.

공공부문 및 금융권의 구조조정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전력과 한국통신 등의 공기업 구조조정에 대해 '제대로 진행되고 있지 않다' (67.8%)고 지적했으며, 국민.주택은행의 합병 등 금융권의 구조조정 역시 '제대로 진행되고 있지 않다' (62.5%)며 비난했다.

이어 공기업의 민영화에 대해서는 '구조조정 후 효율성을 높인 다음 선별적으로 민영화' (63.7%)하라는 조언이 가장 많았다. '당장 민영화하라' 는 21.4%였고 '민영화 반대' 는 6.8%에 불과했다.

금융개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금융 경영진의 안이한 태도' (32.7%)를 가장 많이 질타했고, 그 다음은 '정부의 금융정책 미비' (28.5%), '노조의 구조조정 반대' (17.0%), '대기업 계열 금융사의 사금고화' (13.4%)등도 꼬집었다.

게다가 빈부격차에 대해 '그 차이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88.7%)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같은 어려운 경제사정으로 현 정부의 경제팀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권으로 떨어졌다.

상당수(76.4%)가 ' 신뢰하지 않는다' 고 질타했는데 흥미있는 것은 경제팀에 대한 평가가 동.서간에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광주.호남권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 (67.3%)는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대구.경북권(83.2%)과 부산.경남권(86.5%)에서는 상대적으로 거셌다.

구조조정의 여파로 대량 실업이 예상되고 있는데 '만약 구조조정으로 본인이나 가족이 직장을 잃게 되는 당사자라면 나라 경제를 위해 고통을 감내할 수 있겠는가' 를 물었더니 과반수(51.9%)가 '감내하겠다' 고 물러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