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요즘 '강남 부자' 뭉칫돈 어디로 가나보니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근래 서울 강남 부자들의 편식이 심하다. 식성이 그렇다는 뜻이 아니라 금융상품 선호도가 편중됐다는 이야기다. ELS·즉시연금·글로벌 하이일드채권펀드는 중간 위험·중간 수익을 추구하는 대표적 세 가지 상품이다. 여기에 부자들의 뭉칫돈이 몰리는 것이다. 이들 상품은 투자 위험을 덜면서 연 5~10%대 수익을 추구한다. 은행 예금금리가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하는 가운데 주식시장이 횡보하자 예금보다는 이율이 높고 주식보다는 안전한 상품이 인기인 것이다. 반면 전통 재테크 상품인 주식형펀드나 은행 예금은 올 들어 찬밥 신세다.

쏠림이 심하면 탈이 날 소지가 커진다. 지난해 상반기 부자들 사이에 선풍적 인기를 끈 자문형 랩어카운트(자문사가 운용하는 맞춤형 자산관리계좌)도 그랬다. 자문형 랩어카운트 중에는 주식시장의 자동차·화학·정유 업종(차·화·정)에 집중 투자했다가 수익률이 반 토막 난 사례가 많다. 하나은행·삼성증권·우리투자증권 세 금융사의 서울 강남 프라이빗뱅커(PB·부유층 전담 금융 주치의)에게 부자들의 근래 3대 상품 쏠림 현상과 그 문제점을 들어봤다.

Q. 강남 부자
ELS 등 3대 중위험 금융상품에 몰리는 진짜 이유는?

왼쪽부터 박경희 삼성증권 UHNW 사업부 상무 신혜정 우리투자증권 프리미어블루 강남센터장 김종호 하나은행 강남PB센터 골드PB부장

김종호 하나은행 강남PB센터 골드PB부장=올 상반기 부자들의 우선 관심사는 수익보다 절세다. 12월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을 연 금융소득 4000만원 이상에서 2000만원 이상으로 확대할 거라고 기정사실화한다. 금융소득종합과세는 수익에 최고 38.5%의 누진세를 물린다. 이 때문에 부자들은 되도록 수익금을 한꺼번에 받아 세금을 얻어맞기보다 수익을 최대한 잘게 쪼개 받아 세금 부담을 줄이려 한다. 그래서 각광받는 것이 연 5%의 수익을 주면서 비과세 혜택이 있는 즉시연금이나 저축보험이다.

박경희 삼성증권 초고액자산가(UHNW)사업부 상무=요즘 주식 장세에선 큰 재미를 보기 힘들다. 코스피지수가 2000선 안팎에서 오르내리기 때문이다. 이런 횡보장에서 수익을 내는 상품이 바로 ELS와 하이일드채권펀드다. ELS는 연 8~12%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월지급식으로 나눠 받거나 만기까지 가지 않고 조기 상환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하이일드채권펀드는 투자 기업의 회사채 금리가 연 7% 정도다. 여기에 경기가 회복돼 기업 부도율이 더 낮아지면 채권값이 올라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다.

신혜정 우리투자증권 프리미어블루 강남센터장=ELS에 돈이 몰리는 현상은 부자들이 앞으로도 주가가 크게 오르지 않을 거라고 본다는 얘기다. 외국 기업 회사채를 모아 만든 글로벌 하이일드채권펀드는 국채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부각됐다. 블랙록미국달러하이일드펀드와 AB월지급글로벌고수익펀드가 서울 강남권에서 많이 팔렸다.

Q.쏠림현상
중위험 금융상품은 리스크나 부작용이 없나?

박경희=즉시연금·저축보험 등은 보험사 간 경쟁이 붙었다. 후발 주자들이 고객 모집을 위해 연 5%대까지 공시이율(보험사 약속이자)을 높여 내놓았다. 고객에게 연 5%대 수익을 주려면 보험사가 자산을 잘 굴려 그 이상의 수익을 내야 한다. 하지만 근래 저금리 기조를 감안하면 보험사들이 연 5% 이상 수익을 내는 건 갈수록 어렵다. 10년씩 장기 계약했는데 앞으로 수익률이 하락하면 오히려 목돈이 묶이는 결과만 초래할 수도 있다.(※보험회사는 매달 저축성보험에 적용하는 보험이율을 공시한다. 이율은 보험회사의 수익과 시중금리 변동에 따라 매달 달라진다. 가입 후 10년까지는 연 2.5%, 10년 이후는 연 1.5%의 최저 이율을 보장한다.)

김종호=아무리 횡보장이라도 ELS를 너무 믿으면 안 된다. 코스피지수가 현재보다 30%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10%대 수익률을 준다는 구조로 설계된 ELS를 살펴보자. 물론 현재로선 코스피지수가 30%나 급락할 가능성은 작다. 하지만 2008년 세계 금융위기나 지난해 하반기 유럽 재정위기와 같은 초대형 악재가 발생해 주가가 급락하면 그런 구조가 한꺼번에 깨질 수 있다. 지난해 7만8000원까지 갔던 대한항공 주가가 하반기에 3만원대까지 떨어졌다. 이때 대한항공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원금비보장형 ELS에 가입한 투자자는 손해가 막심했을 것이다.

신혜정=ELS는 요즘 수익률이 낮아지는 추세라 투자 매력도가 1분기만 못하다. 원금보장형은 은행 예금보다 조금 높은 연 5~6%대 수익률이다. ELS는 주가가 크게 움직일 때는 투자자가 짊어져야 하는 위험도가 커지기 때문에 높은 수익률을 약속한다. 하지만 요즘처럼 주가 변동성이 적을 때는 위험도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수익률이 낮아지는 것이다.

박경희=국내 주가는 주로 외국인이 끌어올린다. 최근 외국인 매수세가 뜸하지만 외국인이 다시 공격적으로 ‘사자’로 돌변할 때를 생각해 봐야 한다. 그때 주식은 연 20~30% 오르는데, ELS로 연 10% 벌었다고 좋아할 수 없다.

김종호=하이일드채권펀드는 무늬만 채권형펀드다. 안전자산인 국채와 성격이 다르다. 오히려 주식의 흐름을 따라간다. 따라서 주가 하락 시에는 수익률이 순식간에 떨어질 수 있다. 즉시연금 등의 저축성보험은 목돈을 활용하지 못하고 한곳에 묵혀놔야 하는 것이 부담이다. 즉시연금에 돈을 다 넣어놨는데, 좋은 투자처가 또 생기면 어쩔 것인가. 물론 중도 인출이 가능하지만 인출한 돈에 대해선 비과세 혜택이 사라진다.

대안
중위험 상품에도 리스크가 있다면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박경희=분산 투자다. 지금처럼 중위험·중수익 상품에만 투자해서는 안 된다. 주식형펀드나 랩어카운트 등 주식 관련 상품에도 전체 투자 자산의 30% 정도를 넣어둘 필요가 있다. 주가가 오를 때 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에도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ELS나 하이일드채권펀드는 어디까지나 대안투자 상품이다. 전체 자산의 3분의1을 넘지 않는 선에서 투자해야 한다. 투자 자산의 나머지 30%는 통장 등에 현금으로 보관하며 여러 용도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신혜정=ELS는 금융시장이 특별한 호재나 악재 없이 조용히 흘러갈 때 매력이 있다. 같은 중위험·중수익 전략이라도 금융시장의 방향성에 대비할 수 있는 상품이 좋다. 가령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는 삼성전자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코스피 하락 때 수익을 내는 ‘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해 보자. 삼성전자 주가가 오르면 수익을 내고, 내리면 인버스 ETF로 수익률 하락폭을 웬만큼 방어할 수 있다. ‘롱-쇼트(Long-short) 전략’을 구사하는 펀드에 가입하는 것도 방법이다. 고평가된 주식을 파는 동시에 저평가된 주식을 사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