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문화상] "초고속 인터넷 정보화 서둘러야"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 인구 1천6백여만명(세계 7위), 휴대폰 이용자 2천6백여만명(세계 6위) - .

각종 수치에서 보듯 우리나라는 지식정보화 선진국이다. 인프라는 세계 어느 곳에 내놓아도 빠지지 않는다.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도 크다. 정부의 의지도 확고하다. 대통령이 직접 '지식문화 강국' 을 역설하고, 정보통신부는 정보고속도로 구축과 초고속 인터넷 확산 등을 주요 업무로 추진하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의 지식문화는 그동안 비약적인 성장을 했다. 90년대 초부터 진행된 '정보고속도로 프로젝트' 에 따라 전국적인 초고속 통신망이 구축됐다.

웬만한 주요 대도시에서는 일반 전화망보다 수십~수백배 빠른 속도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외형적인 수치에 만족하지 않고 정보화 수준을 더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양적 성장은 웬만큼 이뤄진만큼 이제는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희 의원(한나라당.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은 "초고속 인터넷 보급이 일본보다 잘 돼 있다고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섰다며 자만하다간 곧 모래성처럼 무너진다" 며 "정부나 제조업의 디지털화 등 경제를 이끄는 부문의 정보화가 미약하다" 고 강조했다.

실제로 정부나 정치권이 말로는 지식문화를 외치면서도 내부적으론 기득권을 놓치지 않으려고 인터넷 선거.디지털 정부 등 디지털화에 주춤거린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그동안 정보화의 어두운 면이었던▶지도층의 정보화 부족▶정보화의 역기능 등도 극복해야 할 문제로 꼽힌다.

정보격차는 특히 심각하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비율에서 서울과 지방이 3배 이상 차이가 나고, 노인과 장애인의 인터넷 활용은 국내 평균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민주당 곽치영 의원은 "특히 컴퓨터나 인터넷 이용자는 대부분 30대 미만이라 국가.기업.가정을 이끄는 40~50대가 외면당하고 있고, 전통적인 제조업이나 1차산업도 인터넷 소외지역" 이라고 지적했다.

윤창번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은 "지식문화는 앞으로 경제는 물론 정치.사회 등 모든 면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핵심" 이라며 "이런 의미에서 중앙일보가 제정한 지식문화상과 그 수상자들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