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IT] 정보 접속도 공중전화처럼

중앙일보

입력

세계가 정보화시대로 진입하는 데 맞춰 우리 사회는 정부.기업.지식인을 중심으로 정보화 선진국을 향해 질주했다.

그러나 초고속 산업화의 결과가 경제적 평등과 복지 측면에서 참담했듯이 정보화 역시 디지털 평등과 정보복지의 면에서 우려할 만한 결과를 낳기 시작했다.

남성과 여성의 컴퓨터 이용률을 비교한 결과 1997년 10월 1.47대1에서 99년5월 1.59대1로 벌어졌다. 인터넷 이용률은 2.22대 1에서 2.48대 1로 확대됐다.

월소득 1백만원 이하 최하층과 4백만원 이상 최상층의 컴퓨터 이용률은 1.56대 1에서 2.83대 1로, 인터넷 이용률은 3.45대 1에서 4.11대 1로 격차가 넓어졌다.

학력별 격차는 더욱 심하다. 대졸 이상과 중졸 이하의 컴퓨터 이용률은 22.5대 1에서 37대 1로 변했다. (국가정보화백서)

정보가 자유롭게 유통되는 정보화시대에는 사회적 격차가 줄 것이라던 미래학자의 낙관은 적어도 우리 사회에선 빗나갔다.

산업화 시대의 사회적 약자인 여성.주부.저소득자.저학력자는 오늘날 또다시 정보약자로 내몰리고 있다.

성별.소득별.학력별.지역별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고 정보복지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선진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보편적 서비스의 질 향상과 정보화교육의 강화다.

보편적 서비스란 누구나 자유롭고 원활하게 정보를 활용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보 접근력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으로, 정보복지사회의 기본 토대가 된다.

먼저 정보 약자로 내몰린 이들이 정보 접근권을 자유롭게 행사할 수 있는 ''정보접속점'' 의 강화가 절실하다.

정부는 학교.도서관 등 모든 공공시설물이 공공 정보 접속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민간부문도 각자 보유한 정보자산을 활용해 정보복지라는 시대적 과제를 분담해야 한다.

정보화 교육은 정보활용 측면에서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할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학교교육이 중심이 돼야 하지만 정규 학교과정을 마친 사람들에 대한 정보화 교육 대책이 시급하다.

이 문제 역시 민간부문에서 분담할 수 있는 여지가 넓다.

정보 취약 계층에 대한 교육을 민간기관이 담당하고 정부가 이를 보조하는 형태의 협력방식이 효과적일 것이다.

정부는 정보화 촉진 과정에서 민간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려고 노력하였듯이 정보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민간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나아가 정보인프라 구축, 정보접근센터 설치, 정보이용 교육 확대 등을 통해 디지털 불평등을 해소하고 정보복지를 확충하는데 기업이 축적한 자산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정보메세나'' 운동이 펼쳐지길 기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