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 성장률은 마지노선… 실제 목표는 8.5%로 봐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장기적으로 성장률을 낮춰가는 과정의 일부로 보면 된다.”

 5일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0.5%포인트 낮춘 데 대한 전병서(51·사진) 경희대 중국경영학과 객원교수의 해석이다.

그는 “시장 중심의 서구식 경제와는 다른 중국 경제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에 따르면 중국은 정책이 시장에 우선하고, 정부가 지원하면 그것이 곧 유망 업종이 되는 곳이다.

이런 중국 정부가 이미 발표한 12차 5개년계획에서 2011~2015년 평균 성장률을 7%로 제시했다. 여기 맞추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말 권력을 물려받을 ‘5세대’ 시진핑 부주석의 중국은 ‘7대 신성장산업’과 ‘내수확대’를 핵심 경제정책으로 내걸었다.

전 교수는 “투자가 아닌 내수 위주의 경제로 변하면 국내 성장률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 성장률 목표치가 8년 만에 7%대가 됐다고 해서 갑자기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가 커진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동안 중국 정부의 태도를 볼 때 긴축 완화 의지에 큰 변화가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가 내놓는 목표치는 매우 보수적인 숫자다. 전 교수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마지노선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테면 금융위기 같은 어떤 돌발 상황이 와도 달성할 수 있는 숫자를 내놓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2001년 이후 중국 경제성장률은 한 번도 정부 목표치 밑으로 내려간 적이 없다. 2011년에도 정부 목표는 8%였지만 실제 성장률은 9.2%였다.

그럼 정부가 실제로 마음속에 둔 숫자는 얼마일까. 전 교수는 “중국의 관변연구소는 정부 정책 대변인과도 같다”며 “중국 사회과학원 등이 내놓은 예상치 8.5%로 보면 된다”고 했다.

 이어 전 교수는 “정권 교체와 더불어 경제 정책도 내수 위주로 전환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대중국 투자도 2단계 전략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또 ‘차화정(자동차·정유·화학)에 이은 중국투자 유망주는 내수 확대 정책에 따른 ‘신소비시대’ 와 ‘7대 신성장산업’ 수혜 업종에서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병서 교수는 손꼽히는 중국 경제통이다. 대우·한화증권 리서치센터장 등을 지냈고 베이징 칭화대와 상하이 푸단대에서 경영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 중국경영학과 겸임교수 및 상하이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으로 양국을 분주히 오가며 중국 경제와 금융을 강의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