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체세포 복제소 육류 안전성에 의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식품안전.사육조건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없이 체세포 복제소의 수정란이 농가에 보급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빚고 있다.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는 지난 6월부터 최근까지 경기.경상.전라도 등 전국 농가에 8백1개의 체세포 복제소 수정란을 보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수정란은 현재 소 뱃속에서 자라고 있으며 농가는 출산 후 송아지를 시장에 팔게 된다. 체세포 복제 수정란이 농가에 보급된 것은 전세계적으로 이번이 처음이다.

이같은 사실은 민주당 정장선(鄭長善.평택을)의원의 국감자료를 통해 18일 밝혀졌다.

◇ 실태=축산기술연구소는 2008년까지 2백33억원의 예산을 들여 전국 농가에 우량 품종의 소를 체세포 복제방식으로 보급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보급된 수정란도 그 일환이며 육질과 육량이 상위 5백등 이내에 드는 암소의 체세포를 이용, 농가에 보급한 것이다. 탄생 복제소는 농가 소유여서 판매.처분 등에 국가가 관여할 수 없다.

하지만 아직 사육조건.식품안전에 대한 임상실험을 거치지 않았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생산한 체세포 복제송아지 '새빛' 은 지난해 4월 숨졌다. 국내에 첫 체세포 복제소가 탄생한 것은 지난해 2월로 불과 2년도 안돼 농가에 보급된 것이다.

일본의 경우 시험관 아기와 같은 개념인 수정란 복제소의 경우 일반 판매를 허용하고 있으나 체세포 복제소는 안전성 미확인 등의 이유로 실험용으로만 사용토록 제한하고 있다.

◇ 문제점=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녹색연합 등 1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생명안전윤리연대 모임은 "시민을 대상으로 무모한 실험을 하고 있다" 며 체세포 복제소 보급에 반대하고 있다.

생명연대는 일반인의 식탁에 오르게 될 축산물에 대해 사회적 합의없이 졸속 보급한 것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이 문제삼는 것은 ▶공청회 등을 통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임상실험 결과 확보▶체세포 복제소 상품 표기여부 등이다.

생명연대 관계자는 "임상실험 등을 통해 안전성 확보 뒤 보급해도 늦지 않은 것을 성급히 도입할 이유가 없다" 고 말했다.

또 동일형질을 가진 복제소가 대거 출현할 경우 유전적 다양성이 침해될 우려에 대한 검토가 없다는 것이다.

◇ 축산기술연구소 입장=연구소측은 "안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고 반박했다.

김경남 소장은 "체세포 복제소는 유전자 조작 식품과 전혀 다르고 이론적으로 식품안전에 문제될 게 없다" 며 "쌍둥이 송아지가 태어난 것과 같은 것으로 보면 이해하기 쉽다" 고 말했다.

그는 또 "쇠고기시장이 내년 외국에 전면 개방되기 때문에 축산업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시급히 보급해야 한다" 며 "사육조건 등에서 발생한 문제는 그때 그때 해결해야지, 이것이 두려워 산업화하지 못한다면 유전공학 육성의 의미가 없다" 고 주장했다.

◇ 체세포 복제=체세포 복제란 정자와 같은 생식세포가 아니라 일반세포를 이용해 생물체를 복제하는 것이다. 영국의 복제양 '돌리' 가 첫 신호탄이 됐다. 복제된 생물은 체세포 제공 생물의 유전형질과 95% 이상 같은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