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세설(世說)

옥상의 푸른 농원, ‘도시농업’ 싹튼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남광호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

최근 농림수산식품부가 발표한 ‘그린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이 새삼 도시민들의 깊은 관심을 끌고 있다. 2020년까지 도시텃밭, 주말농장 등 8000여 곳을 조성하고 전체 인구의 10%인 500만 명 이상이 참여하도록 해 도시농업을 활성화한다는 게 골자다.

 도시의 다양한 공간을 활용한 농사 행위를 ‘도시농업(都市農業)’이라 하고, 이런 농사활동을 통해 먹고, 보고, 만지고, 느끼는 친인간적이며 자연적인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도시민을 ‘도시농부(都市農夫)’라고 한다.

 2010년 농촌진흥청이 도시거주 2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도시농업 실태 및 요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텃밭·베란다·옥상 등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도시민의 국내산 농산물 구입비율(67.6%)이 그러지 않은 도시민의 구입비율(59.9%)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국내산 친환경 농산물 구입비율도 비도시농업인은 12.7%인 데 비해 도시농업인은 15%로 높게 나왔다. 이는 도시농업인이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고, 이는 국내산 농산물 구입 선호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그러나 일본의 시민농원이나 독일의 클라인가르텐(Kleingarten), 영국의 얼로트먼트 가든(Allotment garden)처럼 친환경 도시농업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재정적·제도적 지도·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우선 작물재배, 종자구입 등 영농활동에 필요한 기본 안내서 보급이 꼭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으로 누구나 안심하고 채소를 가꿀 수 있는 친환경 도시농업 정책도 필요하다. 도시농업에 적합한 농자재와 농기구의 보급과 학교 부지, 공공 유휴지 등 공공 차원의 농지확보로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런 제도적 뒷받침으로 인해 일시적인 열풍이 아니라 생활 속에 실천이 지속적으로 가능한 도시농업으로 정착돼야 한다.

 도시농업은 도시의 생태계 순환구조의 회복과 지역공동체 형성, 로컬푸드 정착, 개인의 식생활 건강과 농업에 대한 도시민들의 인식 전환 등 사람과 자연이 조화로운 공생을 통해 풍요로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남광호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