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용산 미군기지 상업ㆍ주거 복합시설로 탈바꿈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최현철기자] 오는 2016년 반환 예정인 용산 미군기지를 국가공원과 고밀도 상업지구 등으로 개발하는 계획이 탄력을 받으면서 구체적인 청사진이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11일 국토해양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용산 미군기지와 주변 지역을 용산공원 조성지구, 복합시설 조성지구, 공원주변지역으로 각각 나눠 개발하기 위해 용산공원 정비구역을 지정ㆍ고시한 데 이어 올해 안으로 종합기본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2008년 6월 용산공원 대상지 기초조사를 시작으로 사업에 착수한 국토부는 지난 2월 공청회와 3~4월 용산공원조성 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각 지구의 경계와 면적을 최종 확정했다.

이번 정비구역 지정으로 현재 용산 미군기지의 메인포스트와 사우스포스트 본체 부지 2.65㎢ 가운데 주한 미국대사관, 헬기장, 드래건힐호텔 등 미국 측이 계속 사용할 22만㎡를 제외한 2.43㎢가 용산공원의 몫으로 돌아갔다.

용산공원은 북한산-남산-한강을 잇는 서울 광역 녹지축의 중심이라는 지리적 가치와 120여년간 외국 군대의 주둔지라는 역사적 상징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자연과 문화가 유기적으로 어우러진 공간으로 탄생한다.

`생태축공원`, `문화유산공원`, `관문공원`, `세계문화공원`, `U-Eco 놀이공원`, `생산공원` 등 6개 단위공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형태로 조성한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다.

공원 자체보다 더욱 관심을 끄는 것은 용산 미군기지의 캠프킴, 유엔사, 수송부 등 3곳의 부지에 조성될 복합시설 조성지구다.

총 18만㎡ 규모의 복합시설 조성지구에는 다양한 상업 시설과 오피스, 주택, 문화공간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서울 도심의 `노른자위` 땅을 둘러싼 줄다리기가 이어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복합시설 용도지역 놓고 정부-서울시 의견조율

정부는 자연녹지지역인 캠프킴 부지와 3종일반 주거지역인 유엔사 부지, 2종일반 주거지역인 수송부 부지를 모두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한다는 방침이지만, 서울시의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다.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하면 용적률 상한선을 800%까지 적용받아 최고 50층, 평균 40층의 고밀도 개발이 가능해 총 3조4000억원에 달하는 미군 기지의 평택 이전 비용을 마련하기 쉬워진다.

하지만 서울시가 주거시설 비율이 30%에 불과한 일반상업지역보다는 최대 70%에 이르는 준주거지역을 선호하고 있어 용산의 스카이라인이 어떻게 그려질지는 아직 장담하기 어렵다.

한남뉴타운 개발 지역과 인접한 수송부와 유엔사 부지만큼은 준주거지역으로 정해 주택 공급을 늘리는 것이 맞다고 서울시는 주장한다.

국토부는 이와 같은 복합시설 조성지구의 용도지역 문제를 놓고 서울시, 국방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이르면 오는 7월께, 늦어도 올해 연말까지는 용산공원 종합기본계획을 확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종합기본계획 고시에 이어 사업시행자를 선정하고, 사업시행자가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만들어 제출하면 미군기지 철수 일정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복합시설 조성사업의 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유력하며 기지 이전의 재원 마련을 위해 사업성과 수익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것으로 전해졌다.

용산공원과 복합시설을 둘러싼 용산국제업무지구, 서빙고아파트 단지, 한남재정비촉진지구, 후암동 일대 8.95㎢ 부지는 서울시에서 별도의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해 난개발을 막고 체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