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박정희, 일본 식민사관 뒤엎으려 경주 발굴 지시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6년 천마총을 둘러보고 있다. 작은 사진은 73년 출토된 천마총 금관. 정재훈 당시 경주사적관리사무소장이 승용차에 금관을 싣고 대통령 집무실에 가져가 보여주자 박 대통령은 아파트 몇 채 값에 달하는 격려금을 내주었다고 한다. 문화유산에 대한 박 대통령의 각별한 애정을 엿볼 수 있다. [중앙포토]


역사 바로세우기는 광복 이후 대한민국의 오랜 과제였다. 50년 전인 1961년 문화재청의 전신인 문화재관리국이 설립되면서 문화유산으로 한반도의 역사를 증언하는 시대가 열렸다.

 제2대 문화재관리국장을 지낸 정재훈(73·사진) 한국전통문화학교 석좌교수는 “일제시대엔 일본의 문화재만이 국보가 될 수 있었다. 조선 땅에선 일본 역사에 부합하는 것만 사적(史蹟)으로 지정됐다. 박정희 대통령은 식민사관을 뒤엎기 위해 경주의 고고학적 발굴을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중앙일보가 문화재청 50년을 기념해 마련한 인터뷰에서다.

 정 교수는 “문화재관리국이 생기기 이전 우리 문화재를 설명하는 가장 오래된 책이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였다. 사진만 있고 설명이 빈약했다. 일제가 주도한 발굴에는 조선인은 한 사람도 낄 수 없었다”고 말했다.

 문화재 정책은 박정희 전 대통령 재임 시절 탄력을 받았다. 박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경주종합개발을 전략적으로 택했다. 71년 수립된 경주 개발을 위해 세계은행(IBRD) 차관을 들여와 288억원을 투입했다. 경부고속도로 438㎞ 건설에 429억원이 들었던 시대였다. 천마총·황남대총·안압지 등 엄청난 발굴이 이어졌다. 신라 문화의 높은 수준이 한눈에 드러났다. 일례로 황남대총에서만 철기 수천 점이 쏟아져 나왔다. 천마총의 천마도, 여러 고분에서 쏟아져 나온 황금 유물은 한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켰다. 유물은 거짓말하지 않았다.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4세기 후반에 일본이 한반도 남부 지역을 지배했다는 일본 측 주장)의 흔적은 우리 땅에서 나오지 않았다. 출토 유물은 가장 먼저 일본에 가져가 전시했다. 일본이나 중국과는 다른 우리만의 5000년 역사가 있음을 보여주려는 의도였다.

 정 교수는 “박정희 대통령은 울산에 공업단지, 포항에 제철소를 넣고 해외 바이어가 오면 경주에서 묵도록 지시했다. 우리가 공업만 하는 나라가 아니라 신라 때부터 뛰어난 제련 기술이 있었던 나라임을 보여주려는 전략이었다”고 설명했다.

이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