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 38호실 부활 … 평양시는 구조조정 …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개인 금고 역할을 해온 노동당 산하 전문부서 ‘38호실’을 부활시키고 영화부도 새로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 또 평양시는 일부 구역을 황해북도로 떼어내 축소하고, 남포시는 일부를 편입해 특별시로 추가했다. 통일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11년판 북한 권력기구도와 주요 인물, 기관·단체별 인명집을 14일 공개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2009년 39호실과 합쳐졌던 38호실이 다시 분리됐다” 고 밝혔다. 38호실은 외화 상점과 호텔 운영, 무역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며 김 위원장을 비롯한 가족의 개인 자금과 물자 등을 관리한다. 전일춘이 실장을 맡고 있는 39호실은 ‘수퍼노트(100달러짜리 위조지폐)’ 제작, 지하자원과 송이버섯 수출을 총괄하는 곳이다. 미국은 지난해 8월 39호실을 대북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익명을 원한 북한 전문가는 “서로 기능이 다른 두 곳을 합쳤지만 의도했던 만큼 효율적이지 않았을 것”이라 고 분석했다.

  영화부 부활은 김정은 후계 구도 구축 작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정일은 1970년대 후계자로 활동하면서 영화·문학·예술을 총괄하며 김일성 유일사상 체계를 확립했다. 한 대북 전문가는 “북한의 문화 예술은 주민들에게 당의 정책을 주입하는 아주 중요한 정책수단”이라 고 분석했다.

 통일부는 또 북한이 행정구역을 기존 11개 시·도에서 남포시를 특별시로 추가해 12개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반면 평양시 남쪽지역(강남군·중화군·상원군·승호구역)을 황해북도에 편입시켜 평양시를 축소 개편했다. 대북 소식통은 “북측이 특별대우를 해야 하는 평양시민에 대해 재정 부담을 느꼈을 수 있다” 고 말했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