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전남 오리·닭 300만 마리 살처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전남지역에서 AI(조류인플루엔자)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매몰 처분된 오리·닭이 300만 마리를 넘어섰다. 사진은 공무원·의용소방대원·자율방재단 등이 영암군 도포면 구학리의 한 농장에서 오리 살처분을 준비하는 모습. [영암군 제공]


전남도는 “이달 초 발생한 AI(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전남지역 오리와 닭의 살처분 대상 규모가 300만 마리에 달한다”고 16일 밝혔다. 지금까지 매몰 처분된 오리·닭은 130농가, 261만 마리로 역대 최대 규모다. 앞으로 42만 마리를 더 매몰처분 해야 하므로 전체 피해규모는 303만 마리에 달한다.

 이번 AI피해는 오리농가에 집중됐다. 전남지역 닭·오리 사육농가는 1만3000농가(3700만 마리)다. 이 중 닭은 1만2000농가 3000만 마리, 오리는 1000농가 600만 마리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303만 마리 중 오리가 223만 마리였다. 전국 사육량의 절반(48%)을 차지하는 전남에서 3분의 1이 AI로 사라진 셈이다. 나주와 영암지역의 피해가 컸다. 나주는 68농가 162만마리, 영암은 58농가 120만마리가 매몰됐다.

 이날 현재까지 전남지역에서 접수된 AI의심신고는 모두 39건이다. 이 중 19건이 고병원성으로 확진됐고 음성은 14건이다. 나머지 9건은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다. 초기엔 의심신고 대부분이 양성으로 나타났으나 점차 음성으로 확인된 건수도 늘고 있다. 매일 5∼6건씩 쏟아지던 의심신고 건수도 14일엔 2건으로 크게 줄었다. 15일 1건이 접수된 이후 현재까지 의심신고도 없다. AI양성반응도 13일 여수의 한 토종닭 농가에서 검출된 것 외에는 아직까지 없는 상태다. 무더기로 고병원성이 확인됐던 최근 1주일 상황과는 크게 달라졌다. 이에 따라 AI가 진정 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매몰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군 병력까지 투입돼 이날까지 대부분 마무리될 예정이다. 임영주 전남도 농림식품국장은 “AI가 진정되고 있다고 판단할 순 없지만 확산 추세는 좀 꺾인 것 같다”면서 “AI바이러스가 추운 날씨에 더욱 기승을 부리므로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는 AI 발생 이후 방역작업을 강화하고 있다. 닭·오리 농장 인근에 방역대를 지정하고 초소 70개를 설치해 닭과 오리의 이동을 막고 있다. 또 철새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해 철새도래지 10곳에서 항공방제를 했으며, 재래시장에서 닭·오리의 판매도 금지했다.

 ◆전북 초기대응 효과=전북은 발 빠른 선제대응으로 AI의 확산을 막았다. 전북도는 지난달 29일 익산시 망성면에서 AI가 발견되자 주변 농가에서 사육하던 닭 16만8000여 마리를 곧바로 살처분 했다. 반경 10㎞(경계지역)이내에 18개의 초소를 설치해 가축의 이동을 막고, 이동 차량에 대해서는 철저한 방역소독을 실시했다. 특히 타 지역으로부터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AI확산을 잡는 길이라고 판단해 전남·충남의 축산물 반입을 막는 데 힘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남원·순창·고창 등 접경지 길목에는 빠짐없이 초소를 설치하는 등 그물처럼 촘촘하게 방어망을 쳤다. 현재 전북지역에는 AI·구제역 등 방역 초소가 140여개나 된다. 또 AI 전파의 주범으로 알려진 야생조류와의 접촉을 막기 위해 축사마다 그물망을 설치하는 한편, 가축사료 수급이 전북도내서 이뤄지도록 공급체계를 바꿨다.

 강승구 전북도 농림수산식품국장은 “AI·구제역 예방을 위해서는 오염지역의 바이러스가 들어오는 것을 틀어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해 외지 축산물의 이동과 차량 통제에 모든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해석·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