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j View 파워스타일] 최양하 한샘 회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5면

“보기 좋고, 쓰기 편리한 디자인이 최고 아닌가요. 옷이든, 가구든요.”

최양하(62) 한샘 회장의 스타일 철학은 ‘실용’이다. 자연스러우면서 편안함, 멋스러우면서 편리함을 추구한다. “요즘은 승려복이나 신부복의 자연스러움이 좋아 보여요. 아, 디자이너 앙드레 김같이 매일 같은 옷을 입어도 멋스러울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어요. 옷차림에 신경쓸 필요 없잖아요.

글=박현영 기자 , 사진=박종근 기자

패션 실용주의 … 부인이 코디네이터

디자인과 멋이 생명인 가구회사를 이끌고 있는 최고경영자(CEO)가 패션에는 큰 관심이 없다는 게 좀 의외였다. “관심은 있지만 취미는 없다고 할까요. 업무로는 디자인 트렌드에 관심을 갖지만, 개인적으로는 입고 꾸미는 데 큰 취미가 없네요. 사람마다 개성이 다르잖아요.” 그의 스타일 코디네이터는 부인이다. 디자인, 사이즈, 색상 모두 부인이 골라 주는 대로 입는다. “그러고 보니 평생 옷을 직접 산 적이 없는 것 같네요.”

 정장은 보수적으로 고르다 보니 진한 색이 많다. 국내 브랜드 마에스트로의 감색 정장에 푸른 빛이 도는 셔츠를 맞춰 입었다. 평소에는 넥타이를 매지 않는다. 붉은색 넥타이는 페라가모, 끈 묶는 검정 구두는 국내 브랜드 소다. 국산품을 특별히 애용하는 것이냐고 물었다.

 “(수입품은) 괜히 비싸잖아요. 한 번은 집사람이 수입 브랜드 옷을 사왔기에 바꿔오라고 한 적도 있어요. 남들은 유럽 신발 브랜드 OO가 편하다고 하는데, 전 잘 안 맞더라고요.” 모양은 물론 가격도 편안해야 한다는 지론. 제냐 안경은 서울 남대문시장의 20년 넘은 단골가게에서 맞췄다. 몇 년째 뿔테 스타일을 고집하고 있다. 음식점도 고급 식당보다는 허름한 소줏집이 좋다. 한번 마음에 들면 20년 넘게 단골로 삼는다. “한샘의 기업 문화도, 저 자신도 검소하고 수수한 편이에요.”

아이폰에 수화기 연결해 쓰죠

좋아하는 디자이너로 이탈리아의 알레산드로 멘디니와 스테파노 지오바노니를 꼽는다. 멘디니가 디자인한 알레시 와인 오프너 ‘안나 G’와 마개①는 모양도 참신하지만 큰 힘 들이지 않고도 와인을 딸 수 있는 실용적인 기능이 마음에 든다. “멘디니의 이탈리아 집에 초대받은 적이 있어요. 여든 살 나이에도 간직하고 있는 소년 같은 순수함이 그의 디자인 에너지인 것 같아요. ‘안나 G’는 멘디니 나이의 절반 정도밖에 안 되는 부인을 모티브로 디자인했다고 해요.” 한샘이 추구하는 디자인과 실용성, 두 박자를 갖춘 제품이라 곁에 두고 쓴다.

 같은 이유로 아이폰을 쓰고 있다. “아이폰은 기술력보다는 디자인과 아이디어의 승리라고 봐요. 우리 회사가 지향하는 모델이에요.”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일부러 스마트폰을 샀고, 비서를 개인교사 삼아 사용법을 배웠다. “20년 전 인터넷 시대로 접어들 때, 타이밍을 놓쳐 인터넷을 제대로 못 배우고 넘어갔어요. 인터넷 시대는 놓쳤더라도 모바일 시대는 잡아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시대를 이끌어가지 못하더라도 뒤떨어져서는 안 되겠죠. 모바일 환경의 변화는 우리 비즈니스와 일상을 크게 바꿔 놓을 겁니다.” 그래서 최근 조직 개편을 단행해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실을 신설했다. 가장 즐겨 찾는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은 1947년부터 2010년까지 연도별로 가장 인기 있는 100곡을 담은 앱이다. “고등학교 때 들었던 노래가 듣고 싶으면 해당연도로 들어가서 추억이 묻어나는 노래를 금세 찾을 수 있어요.” 아이폰을 일반전화처럼 사용할 수 있게 바꿔주는 수화기②는 사무실에서 통화할 때 편리하다.

 그는 걷기로 건강을 유지한다. 매일 새벽 집 근처 양재천을 2시간씩 걷는다. 하루 일과를 계획하고, 고민을 정리하고, 명상하기에 좋다. 나이키 운동화③를 신는데, 운동화에 내장된 칩이 거리, 시간, 소모 칼로리 등 정보를 아이폰으로 전송해 준다. 월요일 오후에는 임원 10~15명과 함께 청계산에 오른다. 월요일 등산은 한샘의 오랜 전통이다. 회의 테이블에서 못했던 이야기가 자연스레 오가고, 함께 땀 흘리고 저녁식사를 하는 소통의 장이다.

대기업서 한샘 간댔더니 “미쳤냐”

한샘은 올해 창립 40주년을 맞았다. 최 회장이 몸담은 기간은 32년, 대표를 맡은 지는 17년 됐다. 한샘은 그에게 두 번째 직장이다.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한 뒤 대우중공업에서 일하다가 옮겼다. 이직할 당시 한샘은 7평짜리 공장에서 부엌 가구를 만드는 소기업이었다.

 “대기업 조직이 관료화되는 게 느껴지더라고요. 소신껏 일할 수 있는 작은 회사도 괜찮겠다 싶었죠. 면접을 보고 나서 ‘이 회사를 키울 수 있겠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가족과 친구들은 ‘미쳤냐’ ‘거길 왜 가냐’며 반대했어요. 회사 규모가 목수 몇 명 둔 목공소 수준이었거든요. ‘사장 하러 간다’고 응수했죠.”

 진짜 그의 목표는 사장이었다. CEO로 장수한 비결은 “뚜렷한 목표”라고 했다. “먼저 부엌 가구에서 1등을 하고, 가구 전체에서 1등을 한 다음 세계에서 1등을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86년 부엌 가구 1위에 올랐고, 2000년대에 가구업계 1위가 됐죠.” 이젠 세계로 가는 일만 남았다.

뚝배기도 어울리는 모던한 식탁

세계화 전략은 동양과 서양의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이다. “서양의 모던한 식탁은 보기는 좋은데, 된장찌개 뚝배기와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많죠. 뚝배기도 어울리지만 외국인도 좋아할 만한, 동서양을 아우르는 디자인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샘은 국내 민간기업 중 처음으로 90년 디자인연구소를 세웠을 정도로 디자인 뿌리가 깊다. 그때만 해도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지 않을 때였다. 앞으로의 목표는 디자인 정체성을 세우는 것. “소니, 애플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잖아요. 브랜드를 가려도 그 회사 제품인 걸 알 수 있는 거요. 한샘도 그런 브랜드 정체성을 갖는 게 목표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