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 운영' 특성화고 200곳 육성 의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교육혁신위원회가 내놓은 직업교육 혁신 방안은 그동안 양적 확충에 치중해 오던 직업교육에 교육 내용.방법 등 질적인 개선을 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이는 지식기반사회로의 변화와 학생.학부모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직업교육은 '이류(二流)교육'이라는 인식을 바꾸고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의지도 반영돼 있다. 우선 실업고.전문대 등 직업교육기관의 운영체제 개선.지원 확대로 직업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또 교육 당국 위주에서 탈피, 산업체.지자체.정부 부처 등이 함께 참여하는 직업교육을 제도화하고 학생 위주에서 근로자.성인의 계속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직업교육을 혁신하겠다는 게 혁신위의 청사진이다. 그러나 학벌주의에 따른 직업교육 기피 현상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같은 혁신 방안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의 인식 전환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 고교 단계=특성화고 확대와 통합형 고교 제도의 도입이 고교 단계의 직업교육 혁신 방안의 양대 축이다. 우선 특성화고를 2010년까지 전체 고교의 10%인 200개로 대폭 확대하겠다는 것은 실업고 교육의 체질 개선을 시도하겠다는 의도다. 이는 올해 입시에서 ▶부산자동차고(3.17 대 1) ▶경기 한국애니메이션고(5.17 대 1) ▶한국조리과학고(4.73 대 1) 등 특성화고 대부분이 일반 실업고와 달리 지원자가 몰리면서 실업교육의 바람직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앞으로 확대될 특성화고는 지역별 핵심 산업.특성화 산업 등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해 지원 주체가 교육청에서 지자체.산업체.정부 부처로 다원화된다.

통합형 고교는 1학년 때 공통 과정을 배운 뒤 2학년에 진급하면서 인문계열과 직업계열 중에서 선택하고 재학 중 적성에 맞지 않을 경우 전과도 허용하는 체제다. 현재 양평종고 등 10개 고교에서 시범운영 중이며, 학교 이미지가 개선돼 지원 학생이 급증하고 있다.

◆ 대학 단계=근로자.성인의 직업능력 개발을 위해 전문대와 대학의 지역사회 '계속교육센터'로서의 역할이 강화된다. 2010년까지 연간 10만 명의 근로자.성인이 직업훈련을 받게 한다는 복안이다.

산업체 참여에 의한 실업고-전문대 협약학과 제도 도입은 실업고와 전문대의 교육과정.교원.시설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해 직업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전문대 협약학과는 해당 실업고 학생을 무시험 선발한다.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지역산업체와 전문대를 연계한 산업기술 교육단지도 육성된다.

◆ 직업교육 유인체제=실업고 장학금이 내년부터 매년 5% 이상씩 확대 지원된다. 실업고 기피현상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또 국립대 입학 전형시 실업고 졸업생의 정원 외 3% 선발을 적극 권장할 계획이다.

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