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소비자단체·기업 정보 공유 절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소비자단체 활동가에서 공공기관인 식품안전정보센터로 옮겨 1년여를 보낸 문은숙(46·사진) 센터장. 소비자단체에 있을 때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정보 수집 능력이 우리보다도 모자란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지금은 식약청의 정보 수집 통로가 의외로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식약청 직원은 소비자단체가 유전자 변형 작물(GMO), 방사선 조사 식품 등에 대해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한다고 오해하고 있음을 알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소비자 단체, 기업체가 서로 조각난 정보만 보유하는 것이 오해를 부른다“며 “정보를 공유하면 건설적인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운동권 학생으로 출발해 도시빈민운동과 소비자단체 활동을 해온 ‘운동권’이다. “(정부로부터) 센터장 제안을 받고 완전히 새로운 환경에 도전해볼 기회라고 여겼다”는 것이 운동권 용어로 ‘장(場) 이전’의 변이다.

공공기관에 들어온 뒤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그 중 하나가 정부 조직의 노동강도가 비정부기구(NGO)에 못지 않다는 것이다.

“소비자시민모임에 있을 때 한 달에 정시 퇴근하는 날은 2, 3일에 불과했어요. 식약청 직원도 마찬가지였죠. 오후 9시 이후 식약청 직원과 만나 회의하는 일이 잦았어요.”

그러나 그에겐 아직 공직사회의 관례와 문화가 낯설다.

“식품안전 관련 공무원들이 국민 설득보다 먹이사슬 관계에 있는 기관, 다른 부처 공무원 설득에 더 많은 에너지를 쏟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까워요. 우리 센터는 국민에게 정확하고 빠른 식품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소명입니다. 그러나 예산 확보를 위해 국회에 달려가고 식약청과의 의견 교환 등에 많은 힘을 쏟고 있어요.”

개인이 아닌 조직에 성과가 돌아가는 풍토도 그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었다. “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열심히 일하던 공무원이 전보발령을 받아 떠나면 그 자리에 새로 온 사람이 조직 논리에 따라 영문도 모른 채 상을 받는 것을 보고 놀랐어요.”

그는 “식품첨가물 등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은 바뀌지 않았지만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정보를 검토한 뒤 판단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시민모임 기획처장으로 일하면서 ‘참치 뱃살에 수은 다량 함유’ ‘초콜릿 카페인 고함량’ 등 식품안전 이슈를 잇달아 터뜨려 식품업체로부터 기피인물 1순위로 꼽히기도 했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