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장원 김경택作 '편지' 풍경·自我사이 긴장미 탁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응모작이 늘었다.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정형시인 시조를 알고 응모해 오는 사람은 많지 않다.제일 먼저 유의해야 할 것은 정형시의 형식을 갖추는 일이다.

최근에 와서 시조시단에서도 이유없이 파격을 하고 근거없는 시작(試作)들을 용인하는 듯한 분위기가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이 길에 들어서려는 초심자들에게는 특히 그렇다. 아울러 말을 아낄 줄 알아야 한다.

시조는 말을 많이 해서 성공할 수 있는 장르가 아니다. 필요없는 말은 지울 수 있는 데까지 지우고 난 뒤의 언어로 이루어지는 시가 시조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시제(詩題)는 늘 우리가 고민하고 부딪치는 현실 속에서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작품을 읽고 난 뒤의 감동은 같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대상에 대한 것일수록 더 깊어지기 때문이다.

김경택씨의 '편지'는 음보를 맞춘 산문이 아닌 시로서의 시조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런 유의 소재로 작품을 쓸 경우 흔히 외경의 묘사에 그치고 만다. 그러나 이 작품은 작자의 감정이 이입된 팽팽한 긴장과 시적 깊이를 가지고 있다.

황인희양의 '외가' 또한 가작이다. 동시적 발상이 그려 낸 아름다운 그림이다. 같이 응모한 '아버지'도 좋은 작품이었다. 나이에 맞는 사고의 시이면서도 시조의 형식을 빈틈없이 소화하고 있다. 유망한 학생이다.

박홍재씨의 '폐교에서'는 평범한 상을 시조로 읽힐 수 있을 만큼 그려놓았다. 그러나 표현기법에 비해 상의 깊이는 얕은 편이다. 좀더 심도있는 시적 사고가 다음 작품에 나타나길 기대해 본다.

<심사위원 이우걸·정수자>

시조백일장은 독자들이 보내온 시조를 월말마다 심사해 우수작 세 편을 지상(紙上)에 발표합니다. 12월에는 한 해 동안 우수작에 뽑힌 사람에게 새 작품을 받아 연말장원을 가리게 되며 여기서 당선된 분이 중앙신인문학상 시조 부문 당선자가 됩니다. 응모하실 곳:서울 중구 순화동 7 중앙일보 문화부 중앙시조백일장 담당자 앞(우:100-759),팩스 02-751-5598.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