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융합시대 한국이 갈 길은>이공계 '멀티플레이어' 체계적 양성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5면

과기부가 정부출연연구소 내에 세우려는 대학원대학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다. 최근 대통령 주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안건으로 받아들여져 부처간 협의가 한창이다. 내년이면 개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대학원대학은 16개 이공계 정부출연연구소 공동으로 세워 연간 1백명 정도의 석·박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예정대로 추진되면 정부출연 연구소의 최대 숙원 사업이 이뤄지는 것이다.

기술융합 시대에 걸맞은 과학기술 인력과, 부족한 연구인력을 수혈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교수요원은 정부출연 연구소의 연구원들이 맡으며, 기존 대학이 양성하기 어려운 신생 융합 기술 위주로 교육과정이 짜인다.

과기부 박영일 기초과학인력국장은 "이 대학원대학은 학제 간 연구가 필요한 학문 위주로 학생들을 지도함으로써 복합학문을 소화하게 할 계획"이라며 "정부출연 연구소의 연구 결과와 기술이 산업계로 물 흐르듯 이전될 수 있는 등 효과가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대학원을 거치면 재교육 과정 없이 즉시 연구 현장에 투입돼 한몫을 하는 전문가로 큰다. 일반 이공계 대학을 졸업한 연구원들은 재교육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연구 현장에 직접 투입하기 어렵다는 것이 산업계의 불만이었다.

선진국의 경우 이미 오래 전에 이같은 연구원 양성체제를 운영해 오고 있다. 일본은 1988년 15개 정부출연 연구원이 대학원대학을 설립했으며, 학위를 주고 있다. 미국은 생명과학연구소인 TSRI가 자체 박사학위 과정을, 이스라엘의 와이즈만연구소 역시 자체 석·박사 과정을 설치했다.

러시아의 경우 박사급 연구원 양성은 대학보다 연구소에 더 비중을 두고 있을 정도다. 연구 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 집중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방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