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틀린 TV자막 많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TV는 미디어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이고,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친다. 그런데 요즈음 TV를 보고 있노라면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경우가 많다. TV에서 부적절한 은어와 비속어를 남발하는 것은 물론 기본적인 맞춤법조차 틀린 메시지를 자막으로 내보내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얼마 전 주로 청소년층이 시청하는 오락 프로그램에서 '점잖은'을 '젊잔은'으로 표기하는 어처구니 없는 실수가 있었다.

라디오 진행자 역시 제대로 된 표준어를 구사하기는커녕 영문 모를 은어를 서슴없이 사용해 고등학생인 나조차 망연자실할 때가 많다.

어린 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시청하고 있는 만큼 방송매체들은 올바른 표준어와 표기법의 사용을 염두에 두고 방송해야 할 것이다. 우리 한글은 대한민국의 얼굴이고 방송 매체는 한글의 얼굴이라 할 수 있다. 방송이 빠른 시간 안에 편집해야 하는 점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더 신경을 쓰고 꾸준히 점검해 이러한 실수를 줄이고 고운 한글을 썼으면 좋겠다.

박혜린·서울 둔촌고 1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