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 당선자에 듣는다] 강운태 광주시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강운태(62·민주당·사진) 당선자는 1994년에 이어 두 번째로 광주광역시장에 취임한다. 그는 15일부터 3일 동안 인수위원 10여 명과 함께 광산구 하남산단과 한국스티로폼, 삼성광주전자,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을 찾았다. 광주의 고용률은 56.4%로 전국 평균(58.6%)이나 7대 도시 평균(57.0%)에 못 미친다. 당초 이틀이었던 현장 방문 일정도 사흘로 늘렸다. 그가 4년간 시정(市政)의 방점을 어디에 두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지방선거 이후 ‘40대 기수론’이 나오고 있는 데 대해 “나이가 (정치인의) 판단 기준이나 잣대가 되는 건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또 세종시·4대 강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박준영 전남지사,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 등 야권 광역단체장들과 정책·사안별로 연대하겠다는 뜻을 갖고 있다.

-최근 사흘간 경제 현장을 방문했는데 어떤 의미인가.

“시정의 제1 가치를 시민의 ‘행복 지수’를 높이는 데 두겠다고 약속했다. 시장에 당선시켜 준 이유는 ‘침체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광주 경제를 일으켜 세워 달라. 서민경제를 바로잡아 달라’는 것이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일자리를 많이 창출하겠다. 그러기 위해선 경제 현장을 찾아 어려움도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

-‘신규 일자리 10만 개 창출’ 공약으로 선거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광주의 고용 현실은 취약하다. 일자리 창출이 최우선 과제다. 연구개발(R&D) 특구 조성 사업,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과 관련해 대기업·중견기업을 유치하고 육성해 민간부문에서 5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 사회 서비스 일자리와 사회적 기업 육성 분야에서 5만 개 정도의 일자리를 만들겠다.”

-관선 시장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94년 9월 광주시장(당시 차관급)으로 부임했다. 95년 7월 1일 민선시장 체제가 출범하기로 돼 있어 주위에선 ‘시장 직을 고사하고 (중앙에) 그대로 있다가 중앙부처 차관으로 가는 게 낫다’며 말렸다. 9개월 임기가 끝난 뒤 영전하지 못하면 집에서 놀아야 될지도 몰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 생각은 달랐다. 행시 합격 이후 내무부를 택한 것은 광주시장을 한번 해야겠다는 소망 때문이었다. 이후 15년의 세월이 흘렀다. 시민들에게 오래 기억되는 시장이 되고 싶다.”

-전임 시장이 추진했던 돔 야구장 건립 사업은.

“돔 야구장과 관광레저 복합타운 조성 사업은 투자하겠다는 기업이 없어 무산된 것으로 알고 있다. 돔 구장 건립은 현실적으로 추진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무등경기장 축구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야구장을 건립해 야구타운을 만들 계획이다. 2만5000석 규모로 지을 경우 600억원이 필요하다. 체육진흥기금 등 국가에서 일부 지원받고 나머지는 시비로 충당할 예정이다.”

-5·18 기념재단이 유엔의 ‘광주 인권도시 선포’를 계획하고 있다.

“유엔에 인권도시를 신청하면 유엔 법무관실이 현장 실사를 한 뒤 사무총장과 협의해 결정한다. 현재 유엔이 정한 환경도시는 독일·프랑스·브라질 등에 있다. 해마다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명소가 됐다. 그런데 아직까지 유엔이 정한 인권도시는 없다. 우리가 노력하기에 달려 있다.”

-2007년 대권 도전에 나서기도 했다. 지방선거 이후 ‘40대 기수론’이 나오는데.

“젊고 역량 있는 인물이 광역단체장이나 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위에 오르는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나이에 따라 (정치인을) 판단하는 것은 어리석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70대에 대통령직을 수행해 좋은 평가를 받지 않았나. 젊음과 경륜을 겸비해야 한다.”

-야권 광역단체장 연대 논의가 활발하다.

“사안에 따라 정책적·부분적으로 연대할 것이다. 4대 강 사업은 정부의 추진 방법이 잘못됐다. 세종시 문제는 인접한 광역단체와 연대해서 대처하겠다. 세종시 수정안 폐기는 광주가 추진하고 있는 기업 유치와 R&D 특구 조성, LED 산업과 관련해 투자를 끌어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영산강 사업과 관련해 전라남도와 이견이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데.

“광주는 영산강의 수질 개선이 최우선이다. 영산강 수질을 떨어뜨리는 주범은 생활하수지만, 4대 강 전체 수질개선 사업비 1조3000억원 가운데 영산강 부분은 1021억원이다. 그중 광주 지역에 배정된 것은 220억원이다. 이 예산으론 생활하수를 정비하기도 힘들다. ‘선 수질개선, 후 정비’를 해야 한다. 정비도 영산강 본류보다는 지천이 우선돼야 한다. 박준영 지사도 강을 맑게 하고 홍수를 예방하자는 취지로 알고 있다.”

광주=유지호 기자
사진=프리랜서 오종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