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화노트] 앞뒤 안맞는 교육부 '국악 행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교사 국악연수, 청소년 국악강좌, 국악동요제, 우수 국악교육 연구 공모제…. 국립국악원의 청소년 국악교육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이 정도 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푸대접을 받고 있는 국악교육의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다.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국악의 비중이 커지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87년 제5차 교육과정 부터다. 86 아시안게임 이후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10% 정도에 그쳤던 국악의 비율이 10년 만에 40%로 늘어난 것.

97년부터 시행 중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의 비율은 39.1%.장기적으로는 50%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초등학교 교사 양성기관인 전국 12개 교육대학의 초등음악과 커리큘럼 중 국악 비율은 평균 17.5%에 지나지 않는다.

국악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진주교대(8.6%).인천교대가 41%로 가장 높다. 또 음악과 전임교수 중 국악전공은 61명 중 9명(14.8%)에 불과하다.국악 전공교수가 대부분 한명이고 청주교대.제주교대.한국교원대(초등과정)에는 단 한명도 없다.

교육부에서 국악 전임교수를 2명 이상 채용하고 국악교육 비중을 확대하라고 여러차례 지시했지만 이를 제대로 지키는 교대는 거의 없다.

게다가 정작 교사 임용고시에서는 피아노 실기만으로 교사를 선발하고 있어 장구나 단소를 한번 잡아 보지도 못한 교사들을 무더기로 합격시켜 현장에 내보내고 있다. 음악교과서에는 국악이 대거 수록돼 있으나 일선 교사들의 실기 능력 부족 때문에 제대로 배울 수 없는 실정이다.

교육부가 국악전공 교수와 국악 커리큘럼을 늘리라고 지시하면서도 정작 임용고시에 장구.단소 실기를 제외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처사다. 전임교수 비율이나 커리큘럼의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서라도 임용고시에서 국악 반영률을 높이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장구로 굿거리 장단 하나 못치는 교사가 존재하는 한 국악교육의 정상화는 불가능하다.

이장직 음악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