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시도 연구원 연합포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서해안 시대라고들 하지만 중앙정부는 서해안고속도로 하나 닦는 것 말고는 뒷짐을 지고 있지요. 지방자치단체도 저마다 계획을 내놓았지만 재원에 한계가 있고 비슷한 내용이 많습니다. 그 사이 국내 기업은 중국으로 빠져나가고, 한국에 관광온 중국 신혼부부들은 '먹을 것도, 살 것도, 볼 것도 없는 3무(三無)의 나라'라며 발길을 돌립니다."

17일 인천 송도비치호텔에서 열린 제1회 서해안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그동안 서해안지역 개발 과정에서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한 장기적인 국가전략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번 포럼은 경기개발연구원.광주전남발전연구원.인천발전연구원.전북경제사회연구원.충남발전연구원 등 5개 지자체 연구원이 함께 마련했다.

이날 포럼에선 서해안지역을 이용한 대(對)중국 전략을 빨리 세워야 한다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 이종현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4차 국토계획기간 중 서남해지역에 대한 사회간접자본 투자와 공단개발 등이 이뤄졌지만 중복투자가 많았다.

정권교체기에 마구잡이개발도 이뤄졌고 산업의 연속성이 약하고 정부 지원도 분산돼 효율성이 떨어졌다.

예컨대 광주.목포권의 경우 첨단 광산업과 지식산업 지역으로 지정했는데, 이것이 과연 중국과 연계해 무슨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

◇ 군산대 김덕수 교수=서해안은 마주보는 중국 해안보다 수심이 깊고 항만조성 여건도 좋다.

동북아 허브항만의 기능을 하도록 대형 항만 개발이 시급하다. 지역별로 인천지역은 공항 중심의 수출거점.교통요충지로 개발하고, 충남지역은 반도체.석유화학의 수출기지로, 전북은 승용차.컴퓨터 생산거점으로, 전남은 석유화학.철강 중심으로 키우되 중국과의 교류창구를 단일화해야 한다.

◇ 이건철 광주전남발전연구원 연구실장=경기지역은 중국 베이징(北京) 및 허베이(河北).산둥(山東)성 및 동북3성을 맡고, 충청이남 지역은 장쑤(江蘇).저장(浙江)성 등 남쪽을 맡는 역할 분담을 고려해야 한다.

경공업이 뒤진다고 하지만, 예컨대 옷을 파는 것이 아니라 패션을 판다고 생각하면 경쟁력있는 분야가 많다. 서해(西海)일주 여행선(크루즈)산업 육성도 검토할 만하다.

이효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