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선관위의 방송보도 주의환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 21일 공명선거 실현을 위한 협조 요청 공문을 각 방송사에 보냈다.

그 중 KBS와 MBC 두 공영방송에는 특정 프로그램을 적시, 민주당 공천이 확정.공표된 허인회.김한길 후보를 출연시킨 것에 대해 사전선거운동 의혹과 방송의 공정성에 관한 불필요한 오해를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재발 방지를 당부하는 주문을 했다.

다음달 25일 서울 동대문을.구로을.강릉시 등 3개 선거구에서 치러질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선관위가 각 방송사에 주의를 환기시킨 것은 매우 적절한 조치였다.

선거방송의 공정성 여부에 대해서는 관련법에 따라 선거방송심의위원회가 담당하는 것이지만 재.보궐 선거의 경우 이 위원회가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방송 프로그램이 무방비 상태에 놓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선관위의 조치를 보면서 우리는 방송사의 느슨한 책임 의식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가 된 KBS 제1라디오의 '경제가 보인다' (9월 19일 방송)와 MBC-TV의 '섹션TV 연예통신' (9월 19일 방영)의 프로듀서들은 "잘 몰라서 저지른 실수" 라고 말했다고 한다.

선거일 전 90일부터 선거일까지 선거법 규정에 의한 방송 및 보도, 토론방송을 제외한 프로그램에 후보자를 출연시키거나 후보자의 음성.영상 등 실질적인 출연 효과를 주는 내용을 방송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은 선거방송 제작의 기본이다.

시사.연예 담당 PD의 '무지의 소치' 로 가볍게 지나칠 수 없는 이유다. 더구나 이번 재.보궐 선거는 중간평가적 의미를 담은 선거전이라는 점에서 각당의 치열한 각축전이 예상되고 있다.

KBS의 경우 선거방송과 관련한 내부 제작지침서가 있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무용지물이었다. 더욱이 MBC는 선거방송 현장에서 부닥칠 갖가지 사안들에 대한 내부지침서조차 없었다.

차제에 지상파 방송뿐 아니라 케이블 방송 등을 대상으로 선거방송에 관련된 내부지침을 만들어 충분히 숙지토록 방송위원회가 감독 기능을 강화하기를 주문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