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틴틴경제] “희소금속 확보하라” 한·중·일 삼국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발 빠른 일본=일본 정부와 기업은 희소금속 확보 총력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두 사람이 발을 묶어 함께 뛰는, 2인3각 경기를 연상시킬 정돕니다. 희소금속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일본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자원보유국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백방으로 뛰고 있습니다.

일본은 저개발 국가에 개발원조(ODA)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자원탐사 계약을 맺는 전략을 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6월에는 아예 ‘ODA를 활용한 희소금속 안정적 공급안’을, 7월에는 ‘희소금속 확보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마다가스카르에 일본무역진흥회와 일본국제협력기구가 공동으로 수출항 정비 타당성 조사를 해 주고 니켈을 공급받는 식입니다. 특히 보츠와나·잠비아·모잠비크 등 아프리카 남부 3개국을 집중 공략하고 있습니다. 2008년 7월에는 ‘석유·천연가스·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가 플래티넘·코발트·니켈이 풍부한 보츠와나에서 인공위성 탐사를 벌였습니다.

◆더 많이 가지려는 중국=희소금속 시장에서 중국은 단연 ‘갑’입니다. 안티몬·망간·희토류·스트론듐·인듐·카드뮴·실리콘·텅스텐 등 상당수 희소금속의 매장량 세계 1위를 자랑하지요.

세계 시장을 잠식하려는 욕심도 크답니다. 희토류의 경우 전 세계 매장량의 59%를 갖고 있지만 수년간 값싸게 공급해 해외 광산 대부분의 채굴을 중지하게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전 세계 희토류의 97%를 중국이 공급하게 됐지요.

최근에는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관리 광물 종류 지정→수출제한→관세 부과→자국 광물 보호’의 단계로 자원 무기화를 꾀하는 중입니다.

◆뒤늦게 뛰어든 한국=우리나라는 금속 광물 자급률이 1%대에 불과한 자원빈국입니다. 티타늄(73.7%)은 자급률이 높지만 니켈·코발트·크롬·텅스텐·백금은 0%입니다. 희소 금속 수입 의존도가 절대적이지요. 희소금속 확보 작업은 이제 막 걸음마를 떼기 시작했습니다.

한국광물자원공사는 2003년 중국 시안(西安)에 한·중 합작으로 희토류 가공법인 ‘시안맥슨신재료유한공사’를 설립해 매년 약 1000t의 희토 산화물을 만들고 있습니다. 2007년부터는 희소금속 비축 사업을 시작했고요. 이른바 ‘도시광산’으로 불리는 폐기물 재활용 작업도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예컨대 버려지는 폐모니터엔 마그네슘·인듐·지르코늄 등의 희소금속이 포함돼 있습니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