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노인 생산성 등 재평가 일자리 창출에 힘써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고령화 문제를'큰일났다'며 대안 없이 부정적으로만 생각해선 안됩니다.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위기가 될 수도, 축복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고령사회와 세계 각국의 대응'이란 주제로 29일 서울 라마다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 국제학술회의에서 세계적인 노년학자인 게리 앤드루스(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대학 노년학 연구소장)교수는 고령사회에 대한 인식 전환을 다시 한번 촉구했다.

그는 2002년 고령화에 대한 범지구적 대책을 천명한 유엔 마드리드 선언의 주창자. 그는 이날 세미나에서 "무엇보다 노인의 생산성과 역할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세계 각국의 경험을 통해 한국의 고령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한국노년학회 등 국내 5개 관련 학회와 국제노년학회가 공동으로 마련한 자리다.

앤드루스 교수 외에도 브라질.일본.영국 등에서 온 전문가들이 자국의 다양한 사례를 발표하자 국내 관련 학자 등 참석자 180여명은 이에 대해 진지한 논의를 펼쳤다.

특히 일본의 장기요양보험제도를 중점적으로 발표한 다이사쿠 마에다(루터란대 대학원.사회복지학) 교수의 강연이 관심을 모았다. 최근 국내에서도 추진 중인 '공적 노인요양보험제'의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이 제도에 대해 그는 "2000년 4월 도입된 이래 지금까지는 재정적.행정적으로 원활하게 작동돼 왔다"면서 "하지만 수요에 맞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데다 일본의 급증하고 있는 노인 인구를 볼 때 재정 파탄이 우려된다"고 했다. 노인인구 추계 등을 잘못해 어설프게 도입하면 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브라질 측 참석자는 "근로 정년을 늘려 노년층이 계속 일할 기회를 준 것이 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발표했다.

한편 한국 측에선 김용익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위원장이 강연자로 나서 국내의 고령화 문제 및 관련 정책 추진 현황을 소개했다.

이날 행사엔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도 참석했다. 김 장관은 축사를 통해 "고령사회를 대비해 노인 관련 단체들이 모두 힘을 합해 열심히 뛰고 있다는 점을 정부도 알고 있다"면서 국가 차원의 지지를 약속했다.

김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