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NIE[신문활용교육] 뉴스로 수업에 흥미 끌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23면

경희여중 강용철 교사는 국어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신문 기사로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김진원 기자]

“한 손에는 교과서, 다른 손엔 신문을 들어라.” 신문을 수업 자료로 활용해 ‘재미와 공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교사들이 늘고 있다. 교과 수업에 NIE를 접목하면, 딱딱한 교과서 내용을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내기가 한층 쉽기 때문이다. 신문을 활용하는 과목도 늘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회나 국어 교과에 국한됐던 데 반해 최근에는 미술 등 예체능으로까지 적용 영역이 넓어졌다. 신문을 활용해 교과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을 만났다.

글=박형수 기자, 사진=김진원 기자

국어
실제 사례 찾으며 문제해결력 키워

“학생들이 교과서를 따분하게 여기는 건 새로운 정보가 없어서죠. 교과서의 지식이 현실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만 알아도 수업 집중도가 달라집니다.” 강용철(서울 경희여중·국어) 교사의 말이다. 강 교사는 4년 전부터 국어 수업에 신문을 활용해 왔다. 신문이 교과서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중2 교과서에 ‘소음공해’라는 단편 소설이 실려 있다. 아파트 층간 소음으로 이웃 간에 느끼는 갈등이 주 내용이다. 보통 수업에선 교사가 불러주는 내용에 따라 교과서에 밑줄 긋고 적는 것으로 감상을 대신한다. 강 교사의 경우엔 다르다. 그는 먼저 ‘쌓인 눈을 치우다 이웃 간 주먹다짐’이라는 기사를 보여준다. 학생들은 사소한 일로 이웃 간 다툼이 벌어질 수 있는 다른 상황을 더 떠올려 본다. 갈등의 해결 방안도 얘기한다. 교과서를 펼치는 건 그 다음이다. 소설을 통해 배운 지식이 일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직결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기 위해서다.

“교과서에서 배운 것으로 ‘지금 내게’ 닥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죠. 신문의 다양한 기사들은 교과서와 나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합니다. 신문을 통해 교과서 내용을 더욱 생동감 있게 받아들이는 거죠.”

사회·과학
시사로 호기심 자극해 흥미 높여

강연희(부산 연제중·과학) 교사는 “신문을 활용하면 학생들이 사소한 것도 특별하게 받아들여 수업 효과가 커진다”고 강조한다. 그가 신문에 주목한 건 학생들의 질문 때문. 나로호 발사나 신종 플루 등 과학과 관련된 굵직한 시사 이슈가 있을 때면 질문이 쏟아졌다. 교과 내용을 들어가며 대답하자 평소 따분해하던 아이들도 “아, 그렇구나”라며 집중했다. 간혹 진도가 바빠 질문을 무시하고 교과서를 바로 들면 열기가 사라지는 걸 느꼈다.

강 교사는 스크랩을 하거나 신문 일기를 쓰게 하지는 않는다. 오늘 배울 내용과 관련된 기사를 읽어주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정도다. “신문에 교과서에 나오는 용어들이 자주 등장해요. 아이들도 교과서에서 배운 단어를 신문에서 보면 쉽게 잊지 않죠.”

강정훈(경기 안양외고·역사) 교사는 신문 칼럼으로 토의·토론 수업을 진행한다. 강 교사는 “하나의 이슈에는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원인과 배경이 숨어 있다”며 “주제별로 칼럼 한 편씩만 제대로 읽으면 그동안 배운 사회 과목의 수많은 개념이 총정리된다”고 강조했다.

영어
오리고 붙이며 외국어 친숙함 커져

이현주(서울 원묵초) 교사는 “신문은 영어에 친숙함을 느끼게 하는 교재”라고 말한다. 이 교사는 2학년 학생들에게 매일 아침 어린이 신문을 나눠주고 영어 NIE를 지도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신문에서 알파벳을 찾아 오려 붙이고 외우게 한다. 학생들은 찾는 알파벳이 눈에 띌 때까지 계속 머릿속으로 되내고, 찾으면 손으로 오리며 모양을 익힌다. 그냥 보고 쓰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외울 수 있다. 단어 공부는 날마다 목표를 정한다. 모양을 나타내는 단어를 익히는 날에는 circle(원)·square(네모)·triangle(세모) 등을 알려주고 신문 속 사진이나 그림에서 해당 모양을 골라 오려 붙이게 한다. ‘반복·연상법’을 자연스럽게 활용한 셈이다.

신문에 게재된 사진만 보여준 뒤 영어로 상황을 말하게도 한다. ‘완성된 문장으로 말하라’는 식의 제약 없이 한 단어라도 자유롭게 말하는 것이다. 사진 속 인상적인 상황과 함께 한두 단어만 외워도 좋다는 생각에서다.

미술
하나의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

“학생들이 시대별로 중요한 작품들을 단순 암기로 공부하는 게 안타까웠죠. 그런데 신문에선 미술 관련 기사가 실릴 때면 시대적 배경과 관련 인물들까지 다루더라고요. 그래서 주 교재를 신문으로 바꾸게 됐어요.”

윤세원(서울 혜성여고·미술) 교사는 신문 스크랩 매니어다. 10년 넘게 모아놓은 스크랩 자료만 수천 점이다. NIE로 미술을 지도하게 된 것도 이런 습관 덕분이다. 최근엔 국사 교과서와 국어 교과서까지 자료로 끌어 왔다.

예를 들어 ‘미륵사지석탑’에 대해 수업하면 기사를 활용해 최근 석탑의 복원 과정을 설명한다. 석탑의 구조는 미술 교과서로, 건축 당시 배경은 국사 교과서로 알려준다. 국어 교과서에 등장하는 ‘서동요’를 통해 석탑의 유래를 짚어주기도 한다. “학생들은 미술 작품을 고리타분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런데 같은 작품도 신문에서 만나면 재미있어 해요. 기사에 다양한 정보가 실려 있어 다른 과목과 통합해 수업하기도 쉬운 편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