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 같은 초소형 비행기 “군용 정찰기로 투입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4면

윤광준 교수가 새처럼 날갯짓을 하며 나는 초소형 비행기를 들어보이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비행접시형 비행기. 좁은 골목길에서 담벼락이나 전신주에 부딪치지 않고 날고 공중에 멈춰 동영상을 찍어 전송할 수 있다. [박종근 기자]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윤광준(51) 교수 연구실에는 초소형 비행체들이 즐비하다. 손바닥만 한 것부터 성긴 철망으로 만든 비행접시형, 날개를 편 새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장난감은 아니다. 윤 교수가 13년여 동안 대학원생들과 함께 연구하며 개발해온 첨단 비행체들이다. 동영상 카메라는 기본이고, 비행을 자동으로 조종할 수 있는 초소형 컴퓨터와 프로그램,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내비게이션이 장착된 것도 있다.

초소형 비행기에 관한 한 세계적으로 그와 견줄 만한 과학자는 몇 되지 않는다. 그는 국제 초소형 비행기 경연대회의 단골 수상자이기도 하다.

윤 교수는 초소형 비행기에서 새해 희망을 캐려 한다. 자신의 초소형 비행기 작품 중 하나가 처음 상용화되는 것도 보고, 새로운 개념의 비행접시형 비행기를 개발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에도 부풀어 있다.

“올해는 실내나 좁은 골목길 등을 부딪치지 않고 자율 비행을 하고, 헬기처럼 한곳에 체공할 수 있는 비행접시형 비행기를 개발하려고 해요. 원하는 목적지를 스스로 찾아간 뒤 되돌아오게도 할 겁니다.”

윤 교수의 올해 목표 중 하나다.

그는 지난해 네 개의 프로펠러가 달려 있는 비행접시형 비행기를 개발했다. 그러나 아직 이 비행기는 벽 같은 곳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물론 탄소섬유복합재료 망이 보호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행기가 부서지지는 않지만 적진 탐사용 등에 사용하려면 한계가 있다. 일반 날개가 달린 초소형 비행기는 넓은 지역과 먼 곳의 정찰에 용이하지만 골목길이나 실내 정찰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윤 교수는 벤처기업 ㈜마이크로에어로봇과 공동 개발한 날개 길이 70㎝급 무인비행기가 올해 군에 투입될 가능이 크다고 했다. 외국 군에서도 수차례 시연을 지켜보러 내한했다. 미국 제품과 성능이 대등하면서 값은 싸기 때문이다.

초소형 비행기는 보통 몇십㎝ 크기다. 일반 카메라나 적외선 카메라, 화학물질 탐지 센서 등 다양한 장비를 장착해 은밀히 활동할 수 있다. 군용으로는 적진의 동향을 탐지할 수 있고, 민수용으로는 재난지역 탐사 등에 투입이 가능하다. 이런 장점 때문에 세계적으로 치열한 개발 경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여러 나라의 군에서도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추세다.

윤 교수는 초소형 비행기의 크기는 작아도 그 속에서 캐낼 수 있는 미래의 희망은 너무나 크다고 했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 사진=박종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