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내 생각은…

어렵게 개발한 중소기업 신기술 살리려면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7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지 어느덧 1년이 지났다. 다행히 ‘경제 살리기’라는 시대정신을 공감한 온 국민의 노력으로 우리 경제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회복되며 경기침체의 늪에서 조금씩 빠져나오고 있다.

그러나 경기가 바닥을 치고 회복세에 들어섰다는 각종 경제 지표 등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실제로 느끼는 체감 경기는 여전히 차갑다. 특히 그중에서도 기술력이 모자라는 중소기업에 더딘 경기회복의 여파는 더욱 혹독한 시련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처럼 자원이 부족하고, 영토가 넓지 않은 나라는 기술경쟁력 확충만이 무한경쟁의 세계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도이기에 기술 개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문제는 기업이 아무리 혁신적인 신기술을 개발해도 그 기술로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과정이 여의치 않다는 점이다. 특히 마케팅 능력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경우 아무리 좋은 신기술 제품을 개발했다 하더라도 매출로 연결시키기 어려워 기술투자가 오히려 자금 부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기술력이 뛰어난 중소기업들이 시장에 빠르게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한 신제품을 정부가 인증하고 그 제품을 공공기관이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하는 ‘신제품인증(NEP)’ 제도와 우선구매를 지원하는 ‘신기술인증(NET)’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조금 더 활성화시킨다면 중소기업은 안정적 성장기반을 확충해 기술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고, 공공기관은 품질과 성능이 우수한 신기술제품을 구매해 장기적으로 예산을 절감하고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안정적 매출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이 주도하는 수출증대와 투자 활성화를 통해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인증제도의 활용도는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 지원·육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저탄소 녹생성장, SW산업 육성, R&D 효율적 운영 등 국가적 어젠다와 맞물려 활성화된다면 차세대 신산업 발굴과 육성에 기여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행히 리튬이차전지, 풍력발전시스템, 광촉매코팅 나노분리막 제조기술 등 최근 들어 인증받는 제품이나 기술들이 정부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방향과 부합하는 경우가 많아 희망적이다.

정부도 이런 인증제도들이 중소기업 성장지원의 요람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더 나아가 중소기업이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는 전문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R&D투자 등 관련 정책의 패러다임 또한 바꿔 나갈 것이다. 또한 우리 기업들의 땀과 열정의 산물인 신기술 제품들이 지구촌 곳곳의 많은 사람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해외시장 진출에도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가 되는 것처럼 이젠 신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 제품이 판매로 연결돼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정부는 물론 공공기관·대기업이 ‘상생의 손길’을 뻗어 실의에 빠진 중소기업들을 일으켜 세우고 서민경제에 생기를 불어넣어야 한다.

임채민 지식경제부 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