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에 묻힌 재산 투자형에 몰리게 정부 뒷받침 절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로 내려가면서 투자 대안 및 노후대책 부재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사례를 토대로 분석이나 증거를 제시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설문이나 면접을 통해 각 가계의 정확한 소득.지출 및 자산 현황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재테크와 노후 대비에 관심이 많은 중산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중앙일보 재산리모델링 사례는 매우 유용한 표본들을 제공하고 있다.

분석 대상은 평균적으로 중산층 중에서도 상위에 속한다. 30대와 40대가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고, 대부분 맞벌이나 고소득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어 살림도 넉넉한 편이다.

그런데도 이들 중 상당수가 노후에 현재와 같은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결과가 나온 것은 노후 대책을 세울 수 없는 가계의 비율이 실제로는 훨씬 더 높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 대부분의 가계가 저금리 상황에 적응하지 못한 채 투자보다는 확정금리형 예금에 치우친 기존의 자산 구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난다. 가계자금이 금융시장을 통해 선순환되지 못하고 정체 상태에 빠져 있는 것이다.

빠르게 진행하고 있는 노령화도 한창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연령층의 노후를 어둡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2001년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를 넘는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다.

2019년엔 이 비율이 14.4%를 기록해 본격적인 고령화사회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른 젊은 세대의 경제적 부담 증가는 국민연금의 재정 악화를 불러 사회적 문제로 대두할 것이다.

가계가 투자에 재테크의 초점을 맞추도록 유도하는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하다.

이번 분석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배제한 현재 가치를 기준으로 이뤄졌으며 연 물가상승률은 4%, 세후투자수익률은 7%로 가정했다. 은행 예.적금의 연간 실질수익률은 0%, 투자자산의 실질수익률은 연 2.89%로 계산했다.

여윤경<이화여대 교수, 소비자.인간발달학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