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군사대응 어떻게 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미 군사지휘부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재발사를 막기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29일 조성태 (趙成台).윌리엄 코언 국방장관은 미사일 재발사 조짐이 농후해지는 순간 군사적 대응에 나서기로 다짐했다.

이는 지난해 8월말 북한의 대포동1호 미사일 발사 때와는 달라진 단호한 자세다. 그때는 사전정보가 없었고, 미사일이냐 인공위성이냐의 논란 속에 한.미간의 공조태세가 짜임새있지 못했다.

이번에는 외교.경제적 제재 방안에다 군사적 대처 수단까지 짜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나가는 것은 무엇보다 북한 미사일의 잠재적 위력 때문이다.

따라서 외교.안보적 경고로는 약하다는 판단으로 군사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하게 된 것이라는 게 우리 군의 설명이다.

군 관계자는 "코언 장관이 한국.일본 국방장관과 연쇄 회담을 가진 것은 군사적 조치를 확보하기 위한 것" 이라고 말했다. 코언 장관은 28일 도쿄 (東京)에서 노로타 호세이 (野呂田芳成) 일본방위청장관과 만났다.

이 관계자는 "한.미 국방장관 결의는 추가 미사일 발사를 그냥 두지 않겠다는 강력한 경고 메시지" 라고 강조했다.

군사적 대응 수위는 3단계. ▶미사일 재발사를 중단하라는 군사행동 의지를 표명 ▶그럼에도 발사 강행 조짐이 보이면 '무력시위' 를 벌이고 ▶발사할 경우 군사적 상황 장악이다.

무력시위는 일본 근해의 키티호크 미 항공모함.이지스함 등을 3~4일 안에 한반도에 투입하는 것. 그리고 미 본토의 스커드미사일 요격용 패트리어트 지대공 (地對空) 미사일대대, B - 52폭격기, F - 18.F - 16 전폭기, EA - 6B 전자전기를 한반도에 배치하고, 조기경보.정보시스템도 따라 붙인다.

여기에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전후해 연평해전과 같은 국지적 도발을 할 가능성에 대비하는 측면도 있다. 북한군의 연평해전 패배에 따른 보복성 도발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게 우리 군의 관측이다.

북한의 미사일 준비 상황은 발사대가 완공됐고 발사장 주변정리가 끝난 상태다. 남은 행동은 몸체와 추진엔진을 트럭으로 발사장에 이동→동체 조립→발사대 설치→연료주입→발사다. 8월 중순~9월 중순에 쏠 것으로 한.미군은 추정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미사일을 발사하려 할 경우 이같은 행동이 1주~한달 전에 정찰위성에 의해 탐지된다" 며 "군사조치는 이때부터 취해질 것" 이라고 강조했다.

김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