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 두번 울리는 공원묘지]외국선 어떻게 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우리나라는 묘지왕국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공원묘지 (집단묘지).종중 (宗中) 묘지.가족묘지.개인묘지 등에 자리잡은 분묘수는 모두 1천9백98만기로 우리 인구 4천6백53만명의 43%에 이른다.

묘지면적은 9만6천여㏊ (약 2억9천만평) 로 국토면적의 1%, 서울여의도 면적 8백㏊의 1백20배다.

또 해마다 20여만기의 분묘가 새로 생겨 여의도의 1.2배만한 국토가 묘지로 탈바꿈한다.

반면 매장률 91%로 우리 (77%) 보다 더 매장을 선호하는 프랑스는 분묘당 면적을 0.8평으로 제한, 국토에서 묘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0.1%에 불과하다.

공원묘지는 이처럼 확산되는 묘지를 집단화해 효율적으로 관리하자는 의도로 마련됐지만 일정기간 사용후 묘지를 비워주는 시한부 매장제가 도입되지 않아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또 공원묘지를 확장하거나 새로 조성하려 해도 지역주민들이 혐오시설로 간주, 유치를 반대하는 것도 걸림돌이었다.

보건복지부 가정복지과 신현수 과장은 "이 추세로 가면 서울은 2년, 수도권은 5년, 전국은 10년 이내에 집단묘지가 한계치에 달할 것" 이라고 말했다.

선진국의 묘지관리는 훨씬 체계적이다.

화장이 97%를 차지하는 일본은 매장에서도 깔끔하다.

도시 주변의 사설묘지를 금지하는 대신 공동묘지를 도시계획의 일부로 편입해 관리한다.

국토가 넓은 미국은 기독교의 영향을 받아 주로 매장한다 (약 88%) .그러나 봉분을 만들지 않고 관의 크기만큼만 땅을 쓰기 때문에 기당 면적이 0.9평 안팎에 불과하다.

미국.유럽 등에서는 공동묘지가 공원처럼 휴식처나 만남의 장소로 쓰이기도 한다.

영국 케임브리지 인근의 엔필드 공동묘지 (5만평) 는 시민들이 출퇴근길이나 점심시간에 수시로 꽃을 들고 망자 (亡者) 를 찾아 삶과 추억을 잇는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회 상임위에 계류중인 '매장 및 묘지 등에 관한 법률개정안' 이 분묘당 매장면적 상한을 개인은 24평에서 9평으로, 집단묘지는 9평에서 3평으로 줄이고, 최장 60년이 지나면 의무적으로 화장하거나 납골시설에 안치하는 시한부 매장제를 도입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국토의 묘지화 추세가 주춤할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