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개선안 의미·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교육부의 2002학년도 대입 개선안은 고교교육 정상화로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사교육비도 경감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해결해야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교육부는 입시에서 '교과성적 총점에 의한 한줄세우기' 가 수험생을 '단편지식 암기기계' , 고교를 입시학원으로 전락시키고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을 가중시켜 궁극적으로는 우리 국가의 경쟁력 약화를 부추기는 '암적 존재' 로 보고 있다.

개선안은 이런 악순환 구조의 근본원인인 '총점주의' 대입 골격을 '다양한 대입 전형틀' 로 교체하는데 목표를 뒀다.

이를 위해 과거에 강조해온 교과목 성적 등 객관성.공정성 위주의 전형방식에서 탈피, 대학의 자율성을 대폭 허용키로 했다.

수능시험 성적에서 총점을 표기하지 않고 영역별 표준점수.등급만 제시키로 한 것은 이런 취지에서다.

교육부는 이 개선안이 정착되면 고교교육이 정상화되고 우리 사회의 인재개념도 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에는 총점이 우수한 학생이 인재였다면 앞으로는 특정분야에서 뛰어난

학생이 인재로 대우받는 것이다.

이해찬 교육부장관은 "우리 입시체제 아래선 빌 게이츠와 같은 천재가 나올 수 없다" 고 말한 적도 있다.

그러나 개선안이 정착되기까지는 해결해야할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고교와 대학이 개선안 정착을 얼마나 뒷받침해주느냐가 최대 문제다.

교육부가 가장 걱정하는 것은 고교에서의 학생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기록. 지난해부터 고교장 추천제가 확대된 후 일부 고교에서는 추천학생 선발을 둘러싼 잡음이 일었고 2002학년도 무시험전형 확대에 대해 치맛바람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앞으로 교사의 주관성이 강한 비교과영역 평가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교사의 학생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일이 시급하다.

李장관은 "올 겨울방학중 내년도 고1을 담당할 교사들을 상대로 연수를 실시하겠다" 고 밝혔다.

대학도 적극적으로 다양하고 공정한 대입전형제도를 개발해야 한다는 숙제를 안고 있다.

무시험전형 대폭 확대로 끊임없이 제기돼온 고교간 학력차 문제도 계속 시빗거리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교육부는 학력에 의한 고교간 등급화는 절대 금지하지만 대학이 교육과정 등 학교특성을 고려, 비공개로 내부기준을 활용하는 것은 허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고교.학부모.대학간에 내부기준 공개, 학교 차등화 객관성 등을 둘러싼 공방전이 생길 소지가 있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