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참여정부 2기 장·차관급 영남 37.8%, 호남 26.2%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지난 23일 광주를 방문한 열린우리당 신기남 당의장은 곤욕을 치러야 했다. 지역 시민단체 인사들과의 간담회에서 불만이 폭포수처럼 터져나왔기 때문이다. 불만의 요체는 영남은 인사에서 약진하고 있으나, 호남은 아예 배제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과연 그럴까.

법무.국방장관 교체 이후 더 이상의 개각은 없다고 한다. 새 정부 2기 내각이 완성된 것이다. 이에 맞춰 본지는 정무직인 장.차관급 이상 공직자 103명의 지역분포를 조사했다.

참여정부의 차관급 이상 103명 가운데 영남 출신은 39명(37.8%). 조각 때(38%)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김대중(DJ) 대통령 집권 초기(28%)에 비해 두드러지게 늘어났다. 40% 이상이던 김영삼(YS) 대통령 시절에는 못 미친다. 일단 영남 약진설은 사실로 드러났다.

호남 출신 또한 만만치 않다. 103명 가운데 호남 출신은 27명(26.2%). 조각 당시 23.9%였으나 1년반 동안 더 늘어났다. YS 정부 때는 13%에 불과했다. DJ 정부에서는 25%선을 유지했다. 이때보다 점유율은 더 늘어난 셈이다. 일단 호남소외론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각종 정치 현안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권력 운용에 간여하는 이른바 빅10(총리, 대통령비서실장, 국정원장, 감사원장, 법무.국방.행자장관, 검찰총장, 국세청장, 경찰청장) 가운데는 영남과 호남 출신이 4대3으로 비중이 비슷했다. 호남을 지역기반으로 하는 영남 출신 대통령으로서 두 지역을 특별히 배려한 듯하다. 충청 출신은 요직(이해찬 총리, 김우식 대통령비서실장, 반기문 외교부 장관, 권진호 국가안보보좌관 등)에 포진해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전체 수치는 12명(11.6%)에 불과하다. 수도권 출신은 19명(18.4%), 강원.제주는 '무대접'(표 참조)에 가깝다. 조각 당시 장관만 4명이었던 여성의 비중이 장관 1명(지은희), 차관급 2명(박선숙 환경차관, 박기영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줄어든 것도 특징이다.

차관급 이상을 출신대학별로 구분하면 서울대(45명)가 압도적으로 많다. 고려대(10명).연세대(8명).영남대(6명).성균관대(5명)가 뒤를 이었다.

강민석 기자

*** 바로잡습니다

7월 30일자 4면 '참여정부 2기 장.차관급 출신지 조사해보니…'에 등장하는 두개의 표는 두명의 기자가 103명의 경력을 사흘간 인물 조회해 만들었습니다. 그래도 완성도 100%에 도달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장관(급)표에 들어가야 할 법제처장과 국가보훈처장을 차관(급).외청장 표에 포함시킨 것은 오보입니다. 지난 3월 16대 국회가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킴에 따라 두 사람이 차관급에서 장관급으로 격상됐는데 그걸 독자님의 지적을 받고서야 뒤늦게 알게 됐답니다.

검찰총장은 장관급에 준하는 예우를 받긴 하지만 검찰청이 법무부의 외청이기에 표에선 차관(급).외청장으로 분류했으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경북사대부고를 졸업한 최기문 경찰청장의 출신고도 경북고로 잘못 썼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