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한 미사일 첩보전 숨가빴던 한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북한이 미사일 시험발사를 감행하기 4일 전인 지난달 27일. 우리측 정보당국에 북한의 '항해통제구역' 선포가 탐지됐다.

항해통제구역은 미사일 발사나 사격훈련을 앞두고 자국 어선들에 위험구역에서의 조업을 금지토록 하는 명령. 국방부 정보당국이 추적해온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능성이 현실로 확인되는 순간이었다.

당시 국방부의 예상 발사시기는 천용택 (千容宅) 국방장관의 일본방문이 예정된 9월초였다.

이미 국방부는 8월초 주한 (駐韓) 미군측으로부터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움직임을 통보받고 있었다.

이 같은 첩보는 주일 (駐日) 미군을 통해 일본측에도 거의 동시에 전달됐다.

이때부터 한.미.일 3국은 정보공유를 통한 협조에 나서면서 동시에 독자적인 정보수집 경쟁에 나섰다.

국방부의 한 소식통은 2일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동원됐다" 며 "이중엔 우리만 갖고 있는 채널도 있다" 고 귀띔했다.

첨단 정보수집수단을 갖춘 주한.주일 미군은 항공정찰기.첩보위성.레이더추적장치 등을 총동원, 대포동기지의 감시에 나섰다.

발사 전날인 지난달 30일엔 북한의 중앙방송이 "미 호전광들의 U - 2 고공정찰기가 8월 한달동안 30여차례나 공중정탐행위를 했다" 고 주장했다.

31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다는 보고를 접하고 있던 김진호 (金辰浩) 합참의장은 "9.9절을 앞두고 북한의 전격적인 움직임이 예상된다" 며 경계태세 강화를 지시했다.

그리고 2시간 후인 낮12시7분 대포동1호가 발사됐다.

즉각 일본 방위청과 러시아 전략미사일군에선 '북한 미사일 동해상에 떨어져' '발사는 실패한 듯' 이라는 발표가 잇따랐다.

그러나 국방부는 반대로 "미사일은 대포동1호로 일본열도를 넘어 태평양 상공에 떨어졌다" 며 탄착지점은 물론 기종까지 비공식 확인해줬다.

일본측은 파장을 우려해 1단계 추진체의 낙하지점 (동해 공해상) 만을 발표하고 최종확인에 나섰다.

반면 국방부는 지금까지 확보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미 기종과 탄착지점을 예상하고 있었던 것. 일본이 이날 오후 11시 우리 발표내용을 인정했다.

그 순간 미군측은 미사일의 비행기록이 담겨 있는 관성항법장치를 회수하러 예상지점에 함정을 이미 출동시킨 상태였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