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굴다리들 ‘작품 옷’ 입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서울 반포동에 사는 주부 유민자(54)씨는 저녁 무렵이면 아파트를 나와 한강시민공원으로 산책을 나간다. 시끄러운 도로와 빽빽한 빌딩숲을 지나 만나는 나들목과 한강변 풍경이 “비타민 같은 휴식시간을 준다”고 그는 말했다. 옅은 노란색을 띤 벽돌로 쌓은 벽, 터널 안에 커튼처럼 안팎으로 굴곡진 벽…. 최근 새 단장을 마친 반포 나들목을 보고 유씨는 “나들목이 아름다운 미술관으로 들어서는 길 같아졌다”며 감탄했다.

①로컬디자인이 설계한 성산 나들목. 외부 입구 날개벽에서부터 터널 안 벽까지 목재 바(bar)로 감싼 것이 특징이다. 목재 바 사이로는 은은한 조명이 새어 나온다. 반포 나들목도 로컬디자인 작품이다. ② 높은 육갑문(수문) 때문에 생긴 볼륨을 붉은빛 목재로 마감한 암사 나들목 전경(아틀리에 리옹 설계). ③ 3층 높이 램프를 타고 내려가는 길이 공원 같은 현석 나들목(제공건축 설계). ④ 유리처럼 보이는 강화플라스틱 블록으로 벽면과 천장을 장식한 신천 나들목(시스템 랩 설계).


◆‘토목 구조물’에서 ‘건축’으로=고급 레스토랑 인테리어에서나 보던 목재로 장식한 벽, 은은한 간접조명, 나무 마루 바닥, 지친 사람들이 잠시 앉았다 갈 수 있는 터널 안팎 벤치…. 한강 나들목이 최근 눈에 띄게 달라졌다. 나들목 디자인에 젊은 건축가들이 참여하며 변신 폭이 커졌다. 서울시가 ‘한강 르네상스’ 사업으로 추진해 온 나들목 전체 사업은 토목회사가 담당했지만, 이 회사가 디자인을 건축가들에게 맡기면서 ‘지하 굴다리’ 같았던 나들목이 ‘새로운 도시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건축가는 로컬디자인(소장 신혜원)·아틀리에 리옹 서울(소장 이소진)·제공건축(소장 윤웅원·김정주)·시스템 랩(소장 김찬중·홍택)등 네 팀이다. 각 건축가들은 모두 나이가 30대 후반이거나 40대 초반으로, 국내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뒤 각기 영국·프랑스·미국·스위스에서 유학하고 돌아왔다. 2007년 맨 처음 의뢰받은 곳은 로컬디자인으로 나들목 25곳을 두 달 안에 단장해 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디자인 하나를 여러 곳에 활용하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신 소장은 “막상 현장 조사를 해보니 비가 많이 오면 침수되는 나들목부터 육갑문(수문)이 있는 곳, 차도와 보도가 같이 있는 곳 등 특성이 다 달랐다”며 “결국 여러 건축가가 나들목을 특성에 따라 나누어 진행하면서 프로젝트가 확대됐다”고 말했다.

◆기능에 감성을 더하다=기존 나들목은 하수구 구멍과 거의 비슷한 구조였다. 뚫어서 사람이 지나갈 수 있게만 하면 되는 기능만 있어서 방공호 같은 투박한 구조물에 불과했다. 일을 맡은 건축가들은 이 기능을 딛고 점프해 나들목의 존재를 공간적으로, 감성적으로 새롭게 해석하는 일부터 시작했다. 이곳을 지나가는 행인이 감성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를 상상했다. 그리고 새로운 체험을 디자인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를 고민했다. 나들목에 보도의 연장선이란 의미를 부여해 천장에서 자연광이 들어올 수 있도록 빛우물을 설계한 곳(금호)이 있는가 하면, 번잡한 도시와는 다른 세상이란 뜻을 살려 주민들이 경관을 바라보고 사색할 수 있도록 둔치가 없는 곳에 계단식 쉼터를 마련한 곳(가양)도 있다.

현재 나들목 25곳은 단장이 거의 마무리됐다. 뒤늦게 시작한 다른 9곳의 추가 공사는 6월 말이면 끝날 예정이고, 신자양 등 4곳의 신설공사는 이제 막 시작한 상태다. 네 팀의 건축가들은 “나들목 디자인은 건축가 입장에서 설계비를 따지자면 상업적으로는 ‘불가능한’ 작품이었다”며 웃으면서도 “하지만 시민들이 공간이 주는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공공 디자인데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있고 보람도 큰 작업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이은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