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총재·김종필총재 연합 이면합의 또 없나" 의혹 증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DJP단일화 합의문' 의 최종작성 단계에서 '대통령의 국무총리 임명권' 을 침해하는 위헌소지 조항을 삭제하고 '양해사항' 으로 넘긴 사실 (본지 11월1일자 1, 4면 보도) 이 알려지면서 또다른 이면합의의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극비리에 이뤄진 두金총재간 회동과 양당 협상대표인 한광옥 (韓光玉.국민회의) - 김용환 (金龍煥.자민련) 부총재간의 4개월 막후협상이 이같은 '의혹' 을 증폭시키는 것이다.

물론 양당은 "이면합의는 없다" 고 펄쩍 뛰고 있다.

우선 집권할 경우 정부각료등의 배분에 대해 별도합의가 있었을 가능성이다.

합의문에는 '국무위원 임명은 양당이 동등한 비율로 한다' 고 돼있다.

그러나 동등지분 원칙의 안전보장책을 이중삼중으로 쳐놓을 수밖에 없는 자민련이 이렇게 '허술한' 조항에 만족했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여권측은 양측이 각각 차지할 특정 정부부처에 관한 구체적인 합의가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신한국당 한 고위관계자는 "협상과정에서 자민련이 안기부장.통일부총리.국방장관을 요구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나 안기부와 국방.외교장관만은 안된다는 국민회의측의 완강한 저항이 있었다는 것이다.

양측은 주고받기 끝에 '경제부총리는 자민련이 맡는다' 고 합의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한 여당의원은 "논란의 여지를 남기지 않기 위해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각각 맡을 특정부처를 명시한 각서가 있을 것" 이라고 추측했다.

'광역단체장 공천문제는 별도기구를 구성, 양당의 공조정신에 입각해 협의처리한다' 는 부분도 '집권뒤 논의하자' (국민회의) 와 '5대5로 분명히 못박자' (자민련) 는 의견이 맞선 결과로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 대목 역시 '매우 외교적인 표현' 인 만큼 구체적인 이면합의가 있었으리라는 지적이다.

16대 총선 공천문제에 대해선 언급이 없지만 '원외지역구의 경우 5대5로 나눠 공천한다' 는 합의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신한국당 이사철 (李思哲) 대변인은 DJP합의와 관련, "장관은 국민회의, 차관은 자민련이라든가 이 장관은 국민회의, 저 장관은 자민련식이어서는 국정의 난맥상이 극에 달할 것" 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국민회의측은 이같은 문제제기를 생떼라고 일축한다.

전영기.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