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그룹 앞날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기아 계열사들은 조금씩 시차를 두고 재편의 길을 걷게 됐다.

일단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는 채권단이 법정관리에 집어넣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 법원이 선임한 관리인이 경영을 떠맡게 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3자인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 나머지 계열사들도 모기업의 진로를 따라 법정관리로 가거나 회사정리 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 자동차회사의 진로 = 기아자동차는 일단 산업은행의 출자회사로 공기업화한다.

나중에 결국 민영화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이 결국 3자인수가 되는 셈이다.

타이밍이 언제냐가 문제일 뿐이다.

정부는 일단 새정부의 공기업 정책에 맡기기로 했다.

공기업 민영화가 일반적인 추세인 점을 감안한다면 갈 길은 이미 정해진 것이나 다름없다.

문제는 누가 인수하느냐다.

재계순위 8위의 기업을 인수하려면 적어도 덩치가 더 큰 재벌이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때 경제력 집중, 여론의 반발등 정부가 고민해야 할 문제가 적잖다.

아시아자동차는 대우가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이미 3자인수의 길이 거의 기정사실화해 있는 셈이다.

◇ 나머지 계열사의 운명 = 이에 대해 정부는 별도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현재 진행중인 절차에 따라 처리하되 채권단의 의사에 맡긴다는 입장이다.

관심거리는 자동차 제작과 직결된 기아중공업.기아정기.기아모텍등 3개사다.

이들은 현재 화의를 신청중인데 성사될 가능성이 크지 않아 모기업을 따라 법정관리에 들어갈 확률이 가장 높다.

기아특수강의 경우 현대.대우의 공동경영이 별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어 진로가 불투명하다.

기아자동차가 기아특수강의 대주주이므로 산은이 기아자동차의 대주주가 되면 자동적으로 특수강에도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특수강의 진로는 전적으로 산은의 결정에 좌우될 전망이다.

재정경제원 관계자는 "법정관리 절차를 계속 진행하되 정상화후 3자인수를 추진할지, 중간에 파산시킬지는 미정" 이라고 밝혔다.

한편 나머지 계열사의 경우 대부분 3자인수가 추진 (기산.기아인터트레이드등) 되거나 회사정리에 들어갈 것으로 채권단은 예상하고 있다.

◇ 김선홍 (金善弘) 회장의 거취 = 산은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법원이 재산보전관리인을 선임하는 시점에서 사실상 경영권을 잃게 된다.

법원은 지난해 회사정리사건 처리요령을 개정해 ▶법정관리의 초점을 '3자인수를 통한 신속한 정상화' 에 맞추고▶기존 경영진에 부실경영의 책임을 엄격히 묻는다는 원칙을 세웠다.

따라서 金회장이 경영권을 유지하거나 나중에 다시 경영권을 회복하기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金회장등 기아 임원진의 보유주식 소각은 법정관리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이뤄지지만 지분율이 0.3%에 불과해 의미가 없다.

◇ 문제점은 없나 = 기아자동차가 계열사들에 서준 3조7천억원의 빚보증이 문제다.

계열사별로 처리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 결과에 따라 지급보증의 해소방안이 별도로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으로서는 계열사 대부분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공산이 커 지급보증 채무가 그리 많지는 않을 것으로 산은은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신용평가회사에 의한 실사결과 4천억원의 추가자금 지원이 있으면 정상화할 것이라고 평가됐는데 산은은 채권단과 협의해 협조융자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포드의 지분처리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포드는 이미 자신들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도록 해달라는 요청을 한 바 있어 기존주식의 처리문제와 함께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남윤호.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