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낭소리’ 수익률 3000%에도 못 웃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독립영화 ‘워낭소리’ 돌풍! 지난 1월 15일 개봉돼 지금까지 20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맞이했다. 순제작비는 1억원. 투자 수익률이 3000%를 넘는다. 이 사례에서 독립영화의 성공학을 끌어낼 수 있을까?

독립영화란 대개 감독 본인이 제작비를 대거나 문화 지원금을 받아 만드는 영화를 가리킨다. 대기업이나 벤처캐피털 등이 수익을 목적으로 투자해 만들어진 영화는 상업영화로 분류된다.

워낭소리의 반대편엔 ‘동백아가씨’가 있다. 한센병에 걸려 소록도까지 흘러온 78세 할머니의 지난한 세월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다. 이 작품은 지난해 독립영화계의 기대주였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본 사람은 11월에 280명, 12월엔 153명에 불과했다. 매출은 286만7000원. 극장 측과 5대 5로 배분하면 143만3500원이 남는다. 독립영화의 평균 배급수수료인 30%를 제하면 100만원 남짓이 ‘제작자들’에게 떨어진다.

독립영화계 사람들은 독립영화 100편 가운데 99편은 워낭소리보다는 동백아가씨 쪽에 가깝다고 말한다. 독립영화는 관객이 8000명만 들어도 ‘기본은 한 작품’축에 든다. 10만명이 든 ‘우리 학교’는 가히 블록버스터급이었다. 계약서 쓰고 일당 제대로 받으면서 만드는 독립영화는 많지 않다.

워낭소리가 독립영화도 성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해석은 무리라는 게 독립영화계 사람들의 반응이다. 연기자 출신 방은진 감독은 “하나의 성공 사례를 보편화하지 않고 그저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봐 줬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워낭소리를 제작한 고영재 스튜디오 느림보 대표는 “워낭소리가 독립영화의 역할모델이 될 수도 없고 돼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고 대표는 “독립영화 제작자가 수익성이라는 책임까지 지게 되면 질적인 역주행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상업영화인지 독립영화인지 가르는 데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 최고 흥행작이었던 ‘과속 스캔들’의 이안나 프로듀서는 “상업영화와 독립영화가 수익구조상으로 뭐가 다른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프로듀서는 “독립영화에도 프로듀서가 생겨나고 투자도 받아오는 것을 보면 상업영화로 올라오는 중간 단계가 독립영화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정연 이코노미스트 기자

* 이 기사 전문은 3월 9일 발매되는 이코노미스트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