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살리기 12조 생산 유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6월 착공해 2012년 완공 예정인 4대 강 살리기 사업에는 총 13조9000억원이 들어가며, 낙동강에는 이 중 54.7%인 7조6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한국형 뉴딜 정책’=한국건설산업연구원 윤영선 기획조정실장은 “낙동강 수계 건설시공 부문에 용역비 등을 제외한 순수 공사비(6조2300억원)가 투자되면 전국적으로 총 12조3200억원의 생산 유발효과가 발생된다”고 말했다. 윤 실장은 “유발효과는 2005년 한국은행이 발간한 지역산업 연관표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에서 도출해 냈다”고 설명했다.

산업연관 분석기법은 일정 금액을 건설에 투자할 경우 건설뿐 아니라 서비스 등 각종 산업이 종합적으로 창출하는 생산효과를 예측하는 산출 방식이다.


지역별로는 영남권의 건설산업에 6조2500억원, 제조업에 2조5300억원, 서비스업에 1조1700억원 등 10조400억원의 유발효과가 생긴다. 영남권 이외에서 2조2800억원의 간접 생산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 영남권 건설산업에 7만1800명, 제조업에 1만600명, 서비스업에 1만3900명 등의 취업 유발효과를 가져오며, 기타 권역에도 1만7900명의 취업효과를 불러온다고 그는 강조했다. 윤 기획실장은 “5조2000억원 규모의 부가가치 유발효과와 함께 2조7000억원 규모의 임금 소득효과도 거둘 수 있어 4대 강 살리기는 ‘한국형 뉴딜사업’으로서 지역경제 회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생태 보존 방향 개발 바람직”=부산발전연구원 신성교 선임연구위원은 “4대 강 살리기 사업은 하굿둑 건설로 왜곡된 낙동강의 물 흐름을 개선, 과거 낙동강의 흐름을 복원해 안전한 치수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낙동강 본류보다 수위가 0.5~0.9m 낮은 서낙동강의 상시 침수 피해를 막고 시민의 휴식공간 활용을 위한 접근로를 확보하기 위해 서낙동강과 평강천, 맥도강에 30~50m 폭의 에코벨트(저류지 생태공원)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강진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