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오존층 보호 실태…CFC방치,대체물질 실용화 지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우리나라는 93년 12월 몬트리올 의정서에 가입했고 94년 3월부터 의정서가 발효됐다.

당시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돼 2005년까지 CFC (염화불화탄소) 를 사용할 수 있고 사실상 거의 규제를 받지않고 있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에 가입했고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역할등을 감안하면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노력에 적극동참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 사용실태 = 통상산업부.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CFC 1만1천3백58t, 할론 3천6백11t등 1만4천9백69t이 판매됐다.

그러나 에어컨.냉장고가 폐기될 때 냉매로 쓰이는 CFC가 그대로 공기중에 방출되는등 공기중 방출량을 줄이려는 노력이 없다.

한국자원재생공사에 따르면 연간 1백50여만대의 냉장고가 폐기되고 있으나 냉매는 전혀 회수되지 않고 있다.

연간 2만대의 차량을 폐차처리하는 서울 구로동의 한국슈레다산업㈜ 윤칠선 (尹七善.43) 차장은 "3년전 회수기를 들여와 자동차 에어컨의 CFC를 회수하기도 했으나 처리할 방법이 없어 현재는 전혀 회수를 않고 있다" 고 밝혔다.

◇ 대체물질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CFC대체기술연구센터 (센터장 鄭文朝) 는 93년 자동차 에어컨용 냉매 HFC (수소불화탄소) - 134a를 개발했다.

鄭박사는 "연간 1만t을 생산할 수 있는 실용화 공장 기본설계를 마쳤으나 국내외 수요가 적고 가격도 턱없이 낮아 공장을 짓지 못했다" 고 밝혔다.

국내 HFC 수요가 연간 2천t에 불과하고 2005년까지 CFC를 쓸 수 있기 때문. 올해부터 2단계 연구에 들어간 KIST측은 오는 2000년까지 할론 대체물질과 차세대 CFC 대체물질 개발을 위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 오존농도측정 = 국내에서도 지난 85년부터 성층권 오존농도를 측정하고 있다.

연세대 지구환경연구소 조희구 (曺喜九)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9월에는 평소보다 약 9%까지 줄어들고는 있으나 중위도 지역에서는 성층권 오존농도가 높은 편이어서 아직까지는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고 설명했다.

한편 국립환경연구원에서는 96년부터 제주도와 강원도 운두령에서 CFC 농도를 측정, 발표하고 있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