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은행 해외신용도 왜 흔들리나 …한국=위험 인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시중은행에 이어 국책은행마저 해외차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예삿일이 아니다.

국책은행은 한국이라는 국가의 신용도에 버금가는 수준의 신용등급을 인정받아 왔다.

일종의 정부보증은행이라는 뜻에서다.

우려했던대로 외국투자자들의 시각이 근본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공식적으로는 국책은행의 신용등급은 기아사태 이후에도 아직 변함이 없다.

그러나 지난주 무디스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의 하향조정을 검토하겠다고 한데 이어 스탠더드 & 퓨어즈 (S&P) 도 한국의 신용전망을 '안정적' 에서 '네거티브' 로 바꾸자 곧바로 국책은행의 차입줄이 좁아들기 시작했다.

단순한 전망의 변화만으로 갑자기 충격이 밀려온 것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신용등급의 실질적인 하락이 없는데도 마치 하락한 것과 같은 효과가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무척 곤혹스럽다" 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과 비슷한 수준의 신용등급을 받고 있는 아일랜드나 포르투갈의 금융기관들은 우리 기관보다 평균 0.2%포인트 정도 싸게 돈을 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보사태 이후 대기업과 관련은행들의 잇따른 부실화로 어느새 '한국' 하면 '위험' 이라는 이미지가 투자자들 사이에 깊이 새겨지게 된 것이다.

사실 국제적으로도 한두번의 사고는 봐주는 것이 통례다.

지난 94년말 영국의 베어링스사가 13억5천만달러 규모의 외환사고로 세계적인 파문을 던졌을 때도 국제투자자들은 영국의 금융시스템의 문제가 아닌 개별기관의 문제로 분류해 국가신용을 거론조차 하지 않았다.

우리도 한보사태 하나만 터지고 말았다면 쉽게 넘어갈 수도 있었겠지만 삼미.진로.대농.기아의 부실화가 이어지자 신용하락이 하나의 '추세' 로 자리하게 된 것이다.

기업은행 국제금융실 관계자는 "요즘 국제자금시장에서 한국계 기관은 공식 신용등급보다 한두단계 낮은 대우를 받고 있다" 며 "특별한 호재 (好材)가 없다면 이런 상황이 당분간 계속될 것같다" 고 말했다.

정부도 팔짱만 끼고 있을 수 없게 됐다.

한국은행이 12일 시중은행들에 10억달러의 외화자금을 지원한데 이어 재정경제원은 13일 제일은행에 대해 지원대책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

제일은행의 문제는 한국계 금융기관 전체의 문제로 비화할 것이 분명하므로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책임지고 있는 정부가 수수방관만 할 수 없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그렇다고 정부의 지원이 떨어진 신용을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부의 지원은 곧 제일은행의 상황이 그만큼 악화됐다는 것을 방증하기 때문에 등급은 더 떨어질 수도 있다.

지난주 발표된 S&P의 보고서에서도 " (한국) 정부의 금융지원이 S&P가 상정하고 있는 '최악의 규모' 까지 달하게 된다면 앞으로 1년내 신용등급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고 명시했다.

정부의 무조건적인 지원이 능사 (能事) 만은 아니라는 뜻이다.

게다가 다른 나라와는 달리 한국은 정치상황.북한문제등 경제외적 변수가 늘 신용등급 조정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신용등급의 상향조정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결국 경제의 근본여건을 개선시켜 외국투자자들을 안심시키는 길 이외엔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것이 금융계 공통의 시각이다.

남윤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