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고교교육도 전문화 시대 - 내년 초미니校 등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대학설립 준칙에 의해 지난해 미니대학이 선보인데 이어 내년부터는 고교설립 준칙주의에 따른 초미니 특성화고교 시대가 열리게 됐다.

교육부가 일반고.실업고.특수목적고로 정형화돼 있는 현행 고교체제 틀을 깨고 나선 것은 교육개혁 차원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학교 중도탈락자.부적응아.해외귀국자 자녀등 정규학교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소외계층을 폭넓게 수용하기 위해서다.

현행 고교체제는 입시위주로 운영되는데다 대규모 실업고는 시대변화에 따른 청소년들의 다양한 학습욕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공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청소년이 적지 않다.

이런 청소년을 위한 각종 직업학교와 사회교육시설.대안학교가 있지만 이들 학교는 대부분 정규학교로 인정받지 못해 학력을 원하는 학부모와 청소년의 외면을 받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교설립 준칙은 공교육 사각지대에 있는 청소년을 양지(陽地)로 끌어들이고 입시위주의 획일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해진 청소년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는 특성화 교육체제로 전환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즉,기존 고교교육이 백화점식 교육이었다면 이제는 전문점 교육시대가 열린 셈이다. 특성화고교는 취지는 좋지만 걸림돌이 없는 것은 아니다.우선 재정문제다.기존 고교 등록금은 시.도 교육청이 정하고 있지만 특성화고교에 대해선 원칙적으로 자율에 맡기되 지나치게 높게 받는 경우에만 규제한다는 것이 교육부 방침이다.

그러나 실습이 많은 전문교육은 원래 비용이 많이 들어 자칫 등록금을 둘러싸고 학교.학부모.정부간에 갈등이 생기거나 재정부족으로 학교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특성화고교와 현행 특수목적고.예술고간 경계구분이 모호한 점도 문제다.국악.외국어등 인문.예술분야의 특성화고교 설립도 가능하기 때문이다.그러나 특성화고교에는 폭넓은 재량권을 부여한 반면 특목고등은 규제가 많아 특목고의 반발도 예상된다.

시.도교육청의 감독이 허술할 경우 부실한 특성화고교가 난립,청소년이 피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전문교과목을 위한 교재개발과 교사 양성도 시급한 과제다.

더 나아가 4년제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현실에서 전문직업 위주의 특성화고교와 대학진학 사이에서 갈등하는 학부모.학생을 유치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이에 대해 교육부 이기우(李基雨)지방교육행정국장은“대학입시 전형방법이 다양화되고 있어 특성화고교 졸업생은 특례입학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세종대 교육학과 임천순(任千淳)교수는 특성화고교 설립과 관련,최근 교육부에 제출한 보고서'실업계고교 발전방향 연구'에서 “미국 직업.기술고 개혁의 성공요인을 보면 ▶시설.인력 지원을 위한 재정 확보 ▶지역산업체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학교.교사의 자율권 최대 허용 ▶고교졸업후 대학진학 가능성 확보에 있었다”고 강조했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