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옥신 공청회,음식쓰레기 소각 최소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맹독성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 13일 오후 서울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는 소각장 다이옥신 대책 수립을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수도권 쓰레기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연대회의'와 한국환경기술개발원(원장 金鍾基)이 공동주최한 이날 공청회에서는 다이옥신의 독성에 대해 집중 논의가 전개됐다.

주제발표에 나선 서울대 이동수(李東洙.환경대학원)교수는“하루에 체중 1㎏당 3~6pg(피코그램.1pg=1조분의 1)의 다이옥신을 섭취하는 미국인의 경우 1천~1만명에 1명꼴로 암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생식.면역체계 악영향 李교수는“올 여름 미국환경청(EPA)은 다이옥신의 독성에 관한 최종보고서를 낼 예정이며 암발생 외에도 낮은 농도의 다이옥신에 노출됐을 때 생식.호르몬.면역체계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세대 신동천(申東千.예방의학)교수는“다이옥신은 세포내에서 유전자를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미국에서 다이옥신에 노출된 화학공장 근로자의 경우 폐암발생률이 1.4배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다이옥신은 대부분 음식물을 통해 인체에 흡수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가장 큰 원인은 소각로에서 나온 다이옥신이 먹이사슬을 통해 흡수되는 것인 만큼 소각로의 다이옥신에 대한 규제는 더욱 엄격해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申교수는“음식물을 통해 주로 흡수된다는 것은 외국의 경우이고 우리와 같이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밀집지역에 소각로를 건설할 경우 결과는 전혀 다를 수 있으므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이날 공청회에서는 이밖에 다이옥신을 줄이기 위한 여러 대안이 소개됐다.

李교수는“근본적으로 소각 쓰레기 양을 줄여야 하고 특히 합성수지나 음식쓰레기의 소각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매립지 확보에 어려움 시민연대회의 이대수 집행위원장은“소각장의 시설및 안전운전 기준등을 마련하고 다이옥신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질소산화물등 각종 오염물질에 대한 규제치를 총량기준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李위원장은 또“소각위주의 정책은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재활용 사업기반을 파괴해 자원낭비를 가속화하기 때문에 감량.재활용에 더 많은 예산을 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안영재(安榮載)폐기물자원국장은“종량제 실시후에도 음식쓰레기가 줄지않고 있는데다 사업장 쓰레기가 연평균 8%씩 늘고 있다”며“국토면적이 좁고 매립지 확보가 쉽지않아 소각정책의 병행은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安국장은 “인구밀도가 높은 나라는 쓰레기 소각률이 높아 일본 74%,스위스는 77%에 이르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소각시설 관리기준을 강화.보완하고 감량.재활용을 고려해 당초 계획된 처리시설의 규모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쓰레기 재활용 높여야 한편 이날 공청회에는 우원식(禹元植)서울시의원과 김상종(金相鍾).이종협(李鍾協)서울대교수등이 토론자로 참석,“소각장 다이옥신 배출기준을 기존및 신설 여부에 관계없이 입방당 0.1(나노그램.1=10억분의 1)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공청회를 주최한 시민연대회의는 환경운동연합을 간사단체로 녹색연합.경실련.환경과 공해연구회.강남일원 소각장 대책위원회등 20개 단체가 가입해 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사진설명>

지난달 31일 서울 종로2가에서 수도권 쓰레기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연대회의

소속 단체들의 연합집회가 열리는등 쓰레기 소각장의 다이옥신에 대한

안전대책을 요구하는 환경운동단체들의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