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이후 개각’ 청와대의 셈법은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청와대는 개각 시기를 놓고 저울질을 해왔다. 특히 설 연휴(24~27일) 전과 후 중 어느 편이 효과적일지를 고민했다. 이와 관련, 정무라인 쪽은 “설 차례상에 개각 뉴스를 올려야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펴왔다.

하지만 13일 수석회의 직후 이동관 대변인은 “개각은 설 이후가 될 가능성이 많다”고 ‘설 후 개각’을 공식화했다. 이처럼 설 후 개각을 공식화하고 나선 청와대의 셈법은 뭘까.

이명박 대통령이 14일 청와대를 방문한 토머스 도너휴 미국 상공회의소 회장(右)과 악수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인사 원칙 세우기=청와대는 그간 “인사란 수요가 생길 때마다 하는 것이다. 국면 전환용 인사는 없다”고 여러 차례 선언했다. 정치적 논리가 아니라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실용적인 인사를 하겠다는 원칙을 밝힌 셈이다.

청와대가 개각을 설 뒤로 미룬 것도 이런 원칙과 연관이 있다. 소폭으로 예상되는 청와대 인적 개편과 4개 권력기관장 중 일부에 대한 교체를 설 전에 하고, 내각을 바꾸는 개각은 설 후에 함으로써 ‘비정치적 실용인사’라는 이미지와 원칙을 확고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설 전과 후에 걸쳐 청와대 개편, 권력기관장 교체, 개각으로 이어지는 점진적 인적 쇄신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처럼 느리고 점진적인 인사가 이 대통령의 평소 스타일이라는 분석도 있다. 취임 전부터 대통령을 보좌해온 한 참모는 “새 장관이 오면 업무 파악하는 데 또다시 몇 개월이 걸리는 것 아니냐”며 “대통령은 이런 점을 싫어해 사람을 하나 바꾸려 해도 굉장히 신중해진다”고 말했다.

◆새 이슈 안 만들기=‘입법전쟁’에서 한나라당은 완패했다. 하지만 폭력으로 의사당을 점거하고 농성을 푸는 과정에서 벌어진 의원 폭력사태 탓에 야당은 여론의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터진 민주당 의원 9명의 집단 골프외유 파문도 민주당엔 악재다.

반면 상황이 바뀌면서 여권의 숨통은 다소 트인 상태다. 12일 야당을 강한 어조로 비판한 대통령 라디오 연설에서 보듯 청와대는 모처럼 찾아온 유리한 국면을 바꿀 뜻이 없어 보인다. 이 때문에 “개각을 설 이후로 미룬 것도 현재 국면을 더 끌고 가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여권에서 나오고 있다.

청와대 사정에 밝은 한 여권 관계자는 “지금 개각을 발표해 이슈를 전환시켜주면 야당에만 유리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현실적 어려움도=청와대는 지난해부터 수천 명에 대해 인사검증을 해왔다. 하지만 이렇게 걸러진 인물에 대해서도 개각 대상이 되면 정밀검증을 다시 실시해야 한다. 청와대 내 전문가들에 따르면 정밀검증에는 최소 10일에서 2주 정도가 필요하다. 청와대의 또 다른 핵심 관계자는 “11일께부터 인사라인이 본격적인 검증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를 종합하면 24일 시작되는 설 연휴 전엔 충분하고 정밀한 검증을 하기 힘들다는 결론이 나온다. 청와대가 설 후 개각 카드를 내세운 데는 이런 현실적인 어려움도 작용했다는 분석이 그래서 나온다. 특히 청와대의 참모들은 “‘강부자(강남 땅부자) 내각’이라는 비판이 또 나오면 치명적”이라며 “이번에는 충분한 인사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남궁욱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J-HOT]

▶ "우리도 죽을 맛인데 GM대우차 사달라니…"

▶ 발 구르는 힘으로 발전 나이트클럽 손님 넘쳐

▶ 당신은 '은따·노따·스따'? 그냥 참았다간…

▶ 이순재, 인정하는 후배 물어보니 주저없이 "김희애"

▶ 이라크 국방 "T-50 만족…한국 방산 세계 최고 수준"

▶ "십 몇점이 뭐냐!" 농구 감독, 선수 구타 동영상 파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