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화인프라를세우자>22. 전문가 제언 - 우리 문화재 유적지 발굴도 소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문화재 발굴이 지나치게'보물' 중심으로 흐르는 경향을 보인다.언론까지도 이런 분위기에 가세하고 있다.불화나 불상이 발굴되면 언론의 집중조명을 받기 때문에 발굴 관계자 뿐만 아니라 문화재 관련 공무원들도 그런 쪽으로 기울고 있다.

그러다보니 서민들의 소박한 생활상이 담긴 주거 유적지등은 소홀하게 취급된다.백제초기 집단취락지로 확인된 서울 풍납토성 안에 아파트공사가 진행되고 있는데도 크게 부각되지 못한 것도 그런 맥락.선진국이라면 이런 귀중한 유적지에 아파트

건설은 상상도 못한다.

데라우치 문고와 자선당(資善堂)의 반환에서 확인되듯 아직까지 문화재반환에서는 민간외교가 최선이다.민간외교를 통해 해외 박물관의 수장고에 묻혀있는 우리 문화재를 전시공간으로 끌어내는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해당 박물관에 우리 문화재를

추가로 대여해서라도 우리 문화재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진취적인 문화외교를 펼쳐야 한다.

현재 49명에 6개 분과로 운영되는 문화재위원회에 힘을 실어주는 것도 바람직하다.지금은 문화재위원회가 자문기구여서 주체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안건이 있을 때만 모여 심의하는데 그친다.문화재위원회가 자문기구인데도 문화재관리국 직원들

이 이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움직이는'부작용'까지 나타나고 있다.

한달에 한차례 회의참석에'거마비'조로 10만원씩 지급되는 현실에서는 지난해의 가짜'귀함별황자총통'과 같은 사건의 재발을 방지하기 어렵다.문화재보호가 개발논리에 짓눌리고 있는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도 문화재위원회의 위상을 재정립해

야 한다.문화재 보호에 공간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문화재 그 자체만을 지키는 것으로는 진정한 의미의 보호가 되지 못한다.문화재 주변의 자연환경.인구.교통량.지역적 특성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해 관광자원으로 가꿔나가야 한다.

무엇보다도 국민 모두가 문화재보호를 하나의 의무로 받아들이는 인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도움말 주신분=孫寶基 단국대박물관장.韓圭哲 경성대교수.허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