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대적 M&A 거의 실패-작년이후 8건 시도에 한건만 성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지난해부터 시작된 적대적 기업 인수.합병(M&A)시도가 대부분 실패로 끝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다음달부터는 강제 공개매수제도가 도입되는등 적대적 M&A 여건이 지금보다 불리해질 것으로 보여 성공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후 공개매수등을 통해 최소한 8건의 적대적 M&A가 시도되거나 진행중이지만 지금까지 성공한 것은 지난해 2월 제2대 주주와의 제휴를 통해 제일물산의 경영권을 차지한 신원그룹 한건 뿐이다.

지난해 1월 효성과 코오롱등 두 그룹이 한국카프로락탐 경영권을 놓고 다퉜으나 증권감독원이 효성의 위장지분 조사에 들어가는등 개입하자 양측은 바로 공동경영에 합의,분쟁이 타결됐다.

또 지난해 3월엔 금복주등 지방소주 3사가 OB맥주 주식 매집에 나서며 적대적 M&A를 시도했지만 OB측이 자사주 매입등으로 대응,양측이 아직까지 결말을 보지 못한 상태다.한 업계 전문가는“사실상 종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에는 항도.대구.한화등 3개 종금사와 범한정기.미도파등이 무더기로 적대적 M&A 열풍에 휩싸였으나 항도종금을 제외하고는 대주주의 경영권 방어로 막을 내렸다.항도종금도 분쟁 당사자인 서륭과 효진측이 최근 공동경영을 모색하는등 화해조짐을 보여 이 역시 무산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 적대적 M&A가 이렇게 성사되기 어려운 것은 무엇보다 주식소유.발행 관련 제도들이 경영권을 방어하는 측에 유리하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한도규제가 없는 사모전환사채(BW)발행 제도가 꼽힌다.기존 대주주가 경영권에 위협을 받을 경우 BW를 발행,자신이나 자기에게 우호적인 측의 지분을 늘릴 수 있다.

미도파의 경우처럼 대기업 계열사가 M&A 대상이 됐을 경우 대기업들이 담합,이를 저지시키는등의 기업풍토도 M&A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서명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