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김종수 시시각각

내년 경제 우리 선택에 달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이럴 때 해볼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이 하나 있다. 두 가지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 하나는 모든 일이 잘 풀렸을 때를 상정한 최선의 시나리오이고, 다른 하나는 더 이상 나빠질 수 없을 만큼 경제가 어려워지는 경우를 가정한 최악의 시나리오다. 이 두 가지 극단적 시나리오를 놓고 보면 실상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난다. 앞으로 벌어질 경제상황도 결국 이 양 극단 사이의 어디쯤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경제의 모습은 최선의 시나리오만은 못하겠지만 최악의 시나리오보다는 나을 것이다. 보수적으로 생각한다면 최악의 경우를 가정해서 대비하면 될 것이고, 위험을 다소 무릅쓸 여유가 있다면 최선의 시나리오에 가까운 미래를 전제로 계획을 세우면 될 것이다.

먼저 최선의 시나리오를 보자. 우선 위기의 진원지인 미국에서 금융불안 요인이 싹 걷히고 세계적인 신용경색이 이른 시일 내에 풀리는 경우다. 여기다 각국이 추진하는 경기부양책이 단박에 효과를 보면서 세계의 실물경제가 조기에 회복된다면 금상첨화다. 바라건대 전 세계적으로 꽉 막힌 돈줄이 풀려 금융시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하면 외환부족 사태가 해소되면서 환율도 급속히 안정세를 찾을 것이다. 실물경제의 회복이 앞당겨지면서 수출이 다시 늘어나고 내수도 서서히 기지개를 켜게 될 것이다. 국내적으로 보면 은행의 대외불안 요인이 해소되고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이 조기에 정상화되면서 경기침체기를 짧고 약하게 넘길 수 있을 것이다. 과감한 구조조정을 통해 기업의 부실을 신속하게 걷어냄으로써 실물경제의 부실이 금융권으로 전이되는 것을 막는다면 회복기에 한국 경제는 더욱 강한 모습으로 재기할 수 있을 것이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최선의 시나리오를 완전히 뒤집으면 된다. 미국의 금융불안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새로운 부실이 불거져 나오면서 세계적인 신용경색이 장기간 풀리지 않거나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다.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 노력이 지지부진하면서 경기침체가 가속화하면 세계 경제는 걷잡을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국내 은행들의 외환부족 사태가 악화되고 외환보유액의 감소와 함께 환율이 치솟는다. 세계적인 수요 감소로 인해 수출이 급감하고 덩달아 내수마저 더욱 쪼그라든다. 기업의 부도가 늘어나고 그에 따라 금융권의 부실도 함께 늘어난다. 그 바람에 국내 신용경색은 더욱 심해지고 멀쩡한 기업마저 흑자도산의 위기에 몰린다. 실업자가 늘어나고 가계 파산이 급증한다. 이렇게 되면 경제는 불황의 긴 터널에서 한동안 헤어나지 못하고 재기하기까지 오랜 시간 온 국민이 극심한 고통을 겪게 될 것이다.

자, 이제 ‘진실의 순간(moment of truth)’이 왔다. 한국 경제는 과연 어떤 시나리오에 가깝게 갈 것인가. 그 판단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예측과 선택이다. 미국의 금융불안과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어느 쪽으로 기울지는 단지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국내의 신용경색을 푸는 일과 구조조정을 서두르는 일은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 이 선택을 제대로 한다면 내년 봄께는 재기의 희망이 보일 것이다. 그렇게 못한다면? 두 번째 시나리오를 참고하면 된다.

김종수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