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일 잘하면 전 정부 인사도 써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박근혜(얼굴) 한나라당 전 대표가 17일 “최고로 잘할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는다면 전(前) 정부의 인사라도 쓸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출범 후 정치 현안에 대한 발언을 극도로 자제해 온 그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정국 운영 전반에 관한 의견을 밝혔다.

그는 야권의 거국내각 구성 주장에 대해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며 말을 아끼면서도 “정치권·비정치권을 가리지 말고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적극 활용하는 전문가 내각이 필요하다”며 초당적 탕평 인사를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지금은 비정치권에 방향을 맞춘 편중된 내각 운영”이라며 “그 분야의 최고 경륜이나 전문성 있는 인사를 적극적으로 중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금융위기에 대해 박 전 대표는 “1998년 외환위기를 거쳤는데 우리가 거기서 배우질 못한 것 같다”며 “그때는 다른 나라들이 잘 돌아가고 있었으니 그나마 우리가 수출 덕분에 돌아갔는데 요즘은 세계적으로 어려워서…”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경제부총리 부활론에 대해선 “이 부처, 저 부처로 나눠진 기능 속에서 조율이 잘 안 되는 것 같다. 적어도 국제금융이나 국내외 상황을 종합 컨트롤할 수 있는 타워가 필요하지 않나”며 긍정적 입장을 밝혔다.

경제 회복을 위한 ‘신뢰’의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경제가 잘 되면 정치를 잘하는 것”이라며 “경제라는 꽃이 피려면 신뢰도 잘 깔려 있고, 정치도 안정되고, 과학기술력도 뒷받침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규제 완화에 대해선 “분명한 원칙과 기준이 있어야 하고 무조건 푼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며 “시장경제가 공정하게 돌아가기 위한 감독과 규제는 철저히 하고 시장의 발목을 잡는 것은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미국 금융위기 파장도 원칙을 안 지켰기 때문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최근 논란이 된 수도권 규제 완화에 대해 그는 “나라가 분열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수도권-비수도권의 편을 너무 갈라놓았다”며 “지방이 다 죽어가는데 어디 한 군데만 살리면 되겠느냐. 상속세 완화 등 지방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최근 남북관계에 대해선 “북측이 강력한 조치들을 들고 나오는데도 우리는 제대로 된 예측과 파악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헌에 대해선 4년 중임제 소신을 거듭 밝혔다. 그는 “5년마다 (대통령이) 바뀌니까 정책 하나 뿌리 내리는 것도 없고 한번 정권이 바뀌니까 사람이 바뀌고 정책이 다 바뀌고 대북 정책도 바뀌니 이래서야 되겠는가”라고 말했다.

대선 이후 자신의 ‘잠행’에 대해선 “정권 교체를 했는데도 어려움이 많아지니까 국민 앞에 면목이 없다”며 “새 대통령이 소신 있게 해야지, 사사건건 (내가) 말을 하면 불협화음이 나니까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조용히 있다”고 설명했다. 

이가영 기자

[J-HOT]

▶"사람 다니는 길에서 뭐냐" 시민들 '쌩~' 한나라 지도부 '머쓱'

▶ 오바마 인수위 유일한 한국계, 모친 알고보니

▶"이순신함 소말리아 파견…1000m서 맞히는 저격병도"

▶방수현 "연습장 없습니다" 말에 YS "얼마 들어?"

▶나만 모르는 내 입냄새…이렇게 측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