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틴틴경제] 한·미 통화 스와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도대체 ‘한·미 통화 스와프’가 뭐기에 시장이 이렇게 좋아한 걸까요? 통화 스와프는 한 나라의 통화와 다른 나라의 통화를 바꾸는 것이에요. 이때 통화는 ‘돈’이에요. 한·미 통화 스와프는 우리나라의 원화와 미국의 달러화를 바꾸는 것이지요. 완전히 바꿔 가지는 것은 아니고 어떤 시점에 가서는 서로 돌려줘야 해요. 계약은 중앙은행끼리 맺지요. 즉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한국은행이 통화 스와프를 한답니다. 이번에 두 나라가 서로 바꿀 수 있도록 약속한 금액은 300억 달러예요. 우리나라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300억 달러에 해당하는 원화를 주고 300억 달러를 가져올 수 있는 셈이지요. 즉 원화가 있어야 달러와 바꿀 수 있는 셈인데, 이건 걱정거리가 아니에요. 왜냐하면 원화는 한국은행에서 필요할 때 얼마든지 찍을 수 있거든요.


사실 그동안 국내 금융시장에 난리가 났던 것은 달러화 부족이 큰 이유였답니다. 달러는 국제 거래 때 꼭 필요하답니다. 국제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팔 때 주로 달러를 주고받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얼마 전부터 외환시장에 달러를 내놓는 사람은 적고, 사려는 사람은 많다 보니 달러 값어치인 원-달러 환율이 자꾸 올랐답니다. 환율이 오르는 것은 달러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 즉 해외에서 물건을 사야 하는 사람들이나 자녀를 해외에 유학을 보내놓은 부모들 입장에선 전혀 달갑지 않은 일이에요. 왜냐하면 같은 금액의 달러를 가지려면 더 많은 돈(원화)이 필요하니까요.

문제는 이뿐이 아니랍니다. 환율이 단기간에 너무 많이 오르면 사람들은 그 나라 경제에 탈이 단단히 났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러면 그 나라엔 안팎에서 좋지 않은 일이 생겨요. 사람들 사이에 불안감이 퍼져 주식이나 부동산을 내다팔아 가격이 떨어지게 돼요. 외국에선 그 나라에 달러를 잘 빌려주지 않아요. 그렇게 되면 달러 공급이 충분치 못해 환율이 또 오르게 됩니다. 악순환이 생기는 것이지요. 이런 상황을 피하려면 달러 공급을 늘려야 합니다. 물론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를 빌리는 방법이 있지만 이게 말처럼 쉽지가 않답니다. 미국에서 생긴 금융위기가 각국으로 번지는 바람에 선진국 금융회사들이 잔뜩 움츠리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즉 언제 위기가 자신에게 닥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만약을 대비해 달러를 움켜쥐고 있으려 하는 거지요. 달러를 갖고 있어도 여간해선 남에겐 빌려주지 않게 됩니다. 이 바람에 우리나라 금융회사들도 달러를 구하는 데 애를 먹었어요. 달러 공급이 달리다 보니 환율은 더 오르게 됐고요.

이런 사정 때문에 우리나라가 미국과 통화 스와프 계약을 했다는 뉴스가 전해지자마자 환율이 대폭 떨어지고 주가가 급등한 거랍니다. 또 다른 의미도 있어요. 우선 우리나라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어요. 미국은 아무 나라랑 통화 스와프를 맺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와 통화 스와프 계약을 하기 전까지 미국은 10개 나라와 통화 스와프를 하고 있었는데 영국·일본·스위스 등 모두들 선진국이에요. 이번에 우리나라와 함께 새로 미국과 통화스와프를 체결한 브라질·싱가포르·멕시코 등 세 나라는 신흥국가 중에서 형편이 나을 뿐 아니라 국제금융시장의 지역센터 역할을 하는 곳이랍니다. 따라서 미국과 통화스와프를 한다는 자체만으로도 ‘미국이 신뢰하는 나라’라는 인상을 주게 됩니다.

무엇보다 한 번 스와프를 맺으면 상황이 나빠질 때 금액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실제로 현재 미국이 무제한으로 달러를 교환하기로 약속한 영국·일본·스위스 등도 처음엔 스와프 규모가 작았답니다. 스위스는 40억 달러에서 시작했고요. 어떻게 무제한이 가능하냐고요? 달러를 찍어내는 나라가 바로 미국이기 때문이지요. 이는 우리 입장에선 어려울 때 달러를 공급받을 수 있는 ‘달러 파이프라인’이 생기는 거나 마찬가지랍니다. 달러가 없어서 위기를 맞는 일은 일어나지 않게 됐다고 할 수 있어요. 이는 씨티은행 같은 세계적인 은행이 “한국의 부도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가 됐다”고 진단한 것만 봐도 알 수 있어요.

한국은행은 이렇게 미국 FRB에서 달러를 들여와 국내 은행들에 이자를 받고 풀기로 했어요. 입찰을 붙여 높은 금리를 써낸 은행에 달러를 주고, 그 금액만큼 원화를 받는 방식이에요. 한은이 은행들과 달러화와 원화를 맞바꾸는 또 다른 스와프를 하는 거지요.

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