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설>시급한 국제전문人力 양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부는 국제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9개대학을 선정하고 해마다 2백억원씩 5년동안 1천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이런 큰 돈이 대학에 지원되는 까닭은 두가지다.하나는 정부와 기업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국제전문인력을 키워야겠다는 필요성이고 이를 계기로대학도 세계화 추세에 맞는 교육체제로 가야한다는 유도적 의미를담고 있다.
당장 우리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면 정부는 수십명의 통상협력전문가를 이 기구에 파견해야 한다.공무원이나 민간단체에서 이 일을 수행할 전문가가 크게 부족하다는 게 지금 우리의 답답한 실정이다.정부내 통상협력 전문가가 부족하고 기업도 마찬가지다.이래서 제기된 것이 지역.통상.협력전문가를 대학에서부터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였다.
먼저 지원을 받게된 대학은 정부와 기업의 시급한 소망을 충족시킬 교육체제를 갖추기에 만반의 준비를 해야한다.정부가 준 돈이란 으레 적당히 나눠 우선 급한 곳에 쓰고 보자는 게 관행이었다.또 적당히 구색만 갖추고 대학내 인력을 이리 저리 돌려 꾸려가자는 안이한 생각을 할 수 있다.이런 식이면 국제대학원이란 있으나 마나한 예산낭비일 뿐이다.
세계화전략에 성공하는 길은 내년부터 실시할 이 국제대학원의 향방에 달려있다는 비장한 각오가 필요하다.정부.기업.대학의 공동출연으로 해외현지교육과 해외전문인력을 초빙해 해당지역의 언어.정치.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전문가를 키워야 한 다 또 지역과 전문성을 고르게 안배하는 조정이 대학간 유기적 협의로 이뤄져야 한다.모든 대학이 한 지역,한 전문성에만 몰려선 상승효과를 거둘 수 없다.미주.아시아지역 또는 중남미권 등으로 지역을나누고 통상협력이냐,국제협력이냐도 나눠 대학간 특수성을 살려야한다.세계화 전략의 첫 교육현장이 국제대학원이라는 사명감을 갖고 대학마다 신중하고 야심찬 출발을 하기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