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곰 아직도 지리산에 살고있어-환경부 조사끝에 흔적확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남한에서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 「반달가슴곰」이 지리산에 서식할 가능성이 높아 환경부와 전문포수들이 적극 보호활동에 나섰다.
환경부는 최근 지리산 현지 답사와 지역 포수들을 상대로 한 탐문조사 결과 반달가슴곰이 서식하고 있는 증거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환경부 선우영준(鮮于榮俊)자연정책과장은 『곰의 모습을 직접 촬영하지는 못했으나 천왕봉.삼신봉.영신봉.반야봉.왕시루봉을 잇는 깊은 산에서 발자국과 참나무 훼손등 반달가슴곰의 흔적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포수들의 증언에 따르면 5~10마리가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

<그림 참조> 한국.중국.시베리아 지역 해발 1천5백 이상의활엽수림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은 6.25전만해도 국내 깊은 산에서 살고 있었으나 밀렵등으로 줄어들다 지난 83년 암컷 1마리가 총에 맞아 잡힌 뒤 눈에 띄지 않았다.
이 곰의 서식 흔적이 발견됨에 따라 환경부는 정확한 실태파악에 나서는 한편 지리산 곰 생태계 보호방안을 마련키로 했다.우선 지리산 일대 50~1백평방㎞에 달하는 곰의 활동 영역에 생태 이동통로를 조성키로 했다.
이와함께 지리산 주변 전문포수 출신들이 중심이 돼 「곰 생태보호단」을 구성하는등 민간에서도 보호에 팔을 걷어붙였다.이 보호단은 전남구례와 경남산청을 중심으로 1백50여명의 전직포수와주민들로 구성돼 곰을 비롯한 야생동물 생태조사와 함께 곰 덫제거 활동을 벌일 계획이다.
김석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